요즘 각 언론에서 충북도의회와 충북도에 대해 걱정하는 내용이 유난히 눈에 많이 띈다. 특히 지역을 다니다보면 주민들께서 “충북도와 충북도의회에 관련된 보도를 보고 실망감이 든다”는 말씀을 자주 듣는데 도의원으로서 참 부끄럽게 생각한다.

충북도의회는 지난 7월 후반기 의장 선거 여파로 인해 4개월이 지나가는데 지금까지도 분열돼 있다. 이러한 내홍을 수습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해야 할 도의회 의장이 지금까지 화합에는 미온적이고 오히려 남탓만하고 있는 현실이 매우 안타깝다.

현명한 승자는 패자를 포용하는 아량을 보여야 한다. 패자는 아량을 보이고 싶어도 할 수 없으며 아량은 어떻게 보면 승자의 특권(?)이라고도 할 수 있다. 승자의 아량과 패자에 대한 진심이 담긴 위로 속에 충북도의 발전을 모색하는 것이 충북도민이 진정 원하는 일이라 생각한다.

현재 충북도의회는 항공정비산업점검특별위원회가 가동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별위원회를 구성할 때 각 당 원내대표와 협의해 구성을 했어야 하지만 의장은 일방적으로 구성했고 이로 인해 의장 불신임안까지 제기돼 있어 특위는 여·야간 ‘절차적 정당성 문제’의 한가운데에서 출발했다. 설상가상으로 집행부에서는 특위의 자료 제출요구에 응하지않고 있고, 이대로 계속 파행을 겪으면 특위는 앞으로 어떠한 점검으로 발전적인 대안을 마련할 지도 걱정이다.

항공정비산업은 민선4기 정우택 전 지사께서 당시 정부에서는 계획조차 없었던 항공정비사업을 기획해 심혈을 기울여 추진하다가 낙선하면서 중단된 것이다. 그 후 민선5기 이시종 지사께서 다시 시작하다 보니 때를 놓쳤고 경남도 홍준표지사가 재빨리 항공우주산업(KAI)과 양해각서를 맺고 항공정비산업을 유치하면서 항공정비산업은 충북도에서 멀어져 간 것이 사실이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충북도의회의 항공정비산업점검특별위원회가 벌이는 책임 추궁론과 대안마련을 위한 활동에 대해 이 지사께서는 무엇보다도 현 지사인만큼 잘못된 결과에 대해서 도민께 진심어린 사과와 새로운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지난 선거에 낙선해 항공정비산업을 더 이상 추진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민선4기 정 전 지사를 끌어들여 원죄론을 펴는 것은 이미 지난 일이기도 하거니와 이것이 충북에 무슨 실익이 있으며, 특히 국회의원의 전폭적인 협조를 받아서 도정을 추진해야 할 충북도에서 국회의원과의 대립각을 세우는 것이 과연 이 시점에서 바람직한 일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충북도와 도의회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좌초위기에 빠진 항공정비산업을 일으켜 세워 도민들에게 희망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정치인들은 물론이고 국회의원들과 한마음으로 뭉쳐 이 사업을 성공시켜야 한다. 충북도민들은 미래는 안중에도 없는 소모적인 항공정비산업 사업실패에 대한 책임 추궁이 아니라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고 추진하는 모습을 바라고 원하고 있다.

여·야가 첨예하게 나뉘어 “네 탓”공방을 벌이는 것 보다는 충북도와 도의회가 스스로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새로운 마음으로 항공정비산업을 어떻게 하면 충북에 가져올 수 있는지 머리를 맞대고 궁리할 때다.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이미 정쟁의 중심에 서 있는 충북도의회 항공정비산업점검특별위원회는 활동을 조속히 마무리해야 한다. 그리고 충북의 여당이라고 할 수 있는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의장 불신임안등을 접고 이제는 도민에게 희망을 안겨줘야 한다. 혹시라도 새누리당 분열의 틈을 타 자기들을 도와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충북도의회는 할 일이 산적해있다. 지금은 도의회에서 가장 바쁘게 행정사무감사와 2017년도 예산(안) 심사를 준비할 시기이다.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반성(反省)이란 ‘자신의 언행에 대해 잘못함이나 부족함이 없는 지 돌아보는 것’이다. 도지사와 도의회 의장은 항공정비산업 위기나 의회분열에 대해 스스로 반성하고 도의원들과 도민들에게 손을 내밀어야 한다.

그래야만 도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이 항공정비산업 발전이나 현안 문제로 떠오른 KTX세종역 신설 반대, 문장대온천개발저지에도 충북도의 힘이 모아질 것이다.

아주 교과서적인 말이지만 남이 뭐라고 하기이전에 스스로 혹독하고 처절한 자기반성부터 시작하자. 반성의 토대 위에 도지사는 충북을 위한 발전정책을 제시하고, 도의회는 견제와 감시, 그리고 정책대안 제시를 통해 충북도의 발전을 위해 산적한 현안들을 차분하게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