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내 축산업계가 바짝 긴장해야 할 시기가 다가왔다. 최근 기온이 떨어지면 언제 창궐할지 모르는 겨울철 최악의 불청객 구제역 때문이다.
충북도는 7일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지난 10월 1일부터 구제역 선제적 대응을 위해 가동에 들어간 가축방역상황실의 비상태세를 한층 강화했다고 밝혔다.
2014년 12월 충북 진천, 올해 1월 전북·충남에서 발생한 사례를 보더라도 최근 주로 겨울철에 구제역이 발생하는 경향이다.
올해 구제역은 전북 2건, 충남 19건 등 21건이 발생해 모두 3만3073마리의 돼지가 살처분됐다.
방역여건도 녹녹치 않다. 3월 이후 발생은 없지만 인접한 충남, 경기 등 일부지역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나타나는 감염항체(NSP)가 계속 검출되고 있어 일부 농장에 아직도 바이러스가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충북도는 이번 겨울에 자칫 방역에 소홀할 경우 구제역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판단, 도내 사육하는 돼지 50만마리에 대해 이달 말까지 긴급예방접종을 마치기로 했다.
오는 12월에는 백신이 제대로 접종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돼지농장 전체를 대상으로 항체형성률을 조사해 저조한 농가는 과태료를 처분하고 백신 재접종 명령을 내리는 등 별도의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방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농협충북지역본부·충북축산단체협의회와 재난성 가축전염병 공동대응 협약을 맺었으며 농가에서도 자율적으로 감염항체가 검출된 다른 시·도에서는 돼지입식을 하지 않기로 결의했다.
구제역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는 발병할 경우 방역·살처분 등에 소요되는 사회적 손실이 엄청나서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이후 구제역으로 인한 재정소요액은 2조7714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각 지자체가 부담하는 살처분 매몰 비용도 상당하다.
재정 손실 외에 이동제한에 따른 지역 경기 침체, 소비자들의 축산물 불신 등 2차 피해도 무시할 수 없다.
이처럼 한번 발병하면 나라 전체가 몸살을 앓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더욱 신경 써서 유비무환태세를 견지해야 한다.
축산농가들은 백신 접종이 최선의 구제역 예방책임을 명심하고 정부 지침인 2회 접종을 충실히 지켜야 한다. 농장 내부와 출입차량 소독을 철저히 하고 청소와 세척을 게을리 해선 안 된다.
방역의 최 일선인 농가 차원에서 관련 지침에 따른 차단방역과 백신접종을 잘하고 구제역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신속하게 방역당국에 신고하며 가축 반출금지 명령 등을 지켜야 한다.
따라서 축산농가의 철저한 방역의식이 구제역 예방의 첫걸음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를 막는 것은 쉽지 않지만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농가가 스스로 방역요원이 돼 노력한다면 구제역을 막을 수 있다.
방역당국도 농가 자율에 맡겨놓지만 말고 백신 접종 및 차단방역 확인, 상시 예찰 등 집중감시 체제를 가동해야 한다. 연례행사가 되다시피 한 구제역, 이제는 뿌리 뽑아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