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상공인 단체 "처음 듣는 회사, 잘 알려진 곳 아냐" -충북도 "이란, 기업조사 안 해 모를 수도…투자 의사 확실"

(동양일보_ 충북 오송에 2조원대 투자를 약속하고도 1년7개월째 감감무소식인 이란의 전통의학기업 투바(Tooba)는 현지 상공인에게조차 잘 알려지지 않은 업체로 확인됐다.'

이란에서는 어려운 자국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그만한 돈을 외국에 쏟아붓는 게 가능하겠냐는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이란 측 투자계획을 재확인했다고 호언장담한 충북도 설명과 엇갈린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7일 투바의 신약개발 연구소와 생산시설 설치 계획을 거듭 확인했고, 투자는 예정대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투자협약만 해놓고 여태껏 투자는커녕 사무실 임대료를 내지 못해 증폭되고 있는 의구심을 잠재우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 기관은 그동안 민간 차원에서 추진되던 투자가 이란 국립연구기관인 ABRII(Agricultural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f Iran)와 테헤란대학교 등이 참여하는 정부지원 사업으로 확대 개편된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그러나 이란 현지에서 확인한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한국과 무역을 지원하는 이란·한(韓) 상공회의소 호세인 탄허이 회장은 최근 이란을 방문한 연합뉴스 기자와 인터뷰에서 "이란에 전통의학 관련 기업이 많지만, 투바라는 회사는 처음 듣는다. 잘 알려진 곳은 아니다"고 말했다.

2조원대 투자를 추진하는 기업이 이란 내 경제 전문가한테조차 알려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그의 말은 외국에 큰돈을 투자할 능력이 있는 회사 같지는 않다는 뉘앙스로 전달됐다.

이란 한국대사관 관계자도 "투바라는 회사의 실체를 확인하긴 했지만, 지금의 이란 경제상황에서 막대한 자금을 외국에 선뜻 투자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이란 경제가 여전히 안갯속인 만큼 투자나 협약 등에 신중해야 한다"는 충고도 덧붙였다.

이란은 주요 6개국과 핵 협상이 타결되면서 지난 1월 13년 만에 국제사회로 복귀했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의 금융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지에서는 해외투자나 수출입 등 실물경제에 실질적인 변화가 없다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

호세인 회장은 "미국의 '이란제재법' 때문에 국내 은행이 국제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등급을 못받고 있다"며 "다시 말해 이란 은행들이 무역 보증이나 결제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어려운 경제여건을 설명했다.

이 때문에 금융제재가 풀리지 않을 경우 지난 5월 박근혜 대통령이 이란을 방문해 맺은 대규모 투자 MOU(양해각서)의 무산 가능성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충북도는 여전히 투바 기업의 오송 투자에 낙관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란 투자 유치 실무기관인 충북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이란 측이 투자 의향을 재차 확인해준 서한문에 투바 이사장과 ABRII 대표의 서명이 나란히 담겨 있다"며 "이란 내 한국대사관에서도 투바에 대한 정보를 확인했고, 오송 투자를 매우 이상적인 모델로 평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란 경제는 기업 신용조사 등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우리나라처럼 기업 정보가 공유되지 않는다"며 "현지 상공인단체가 투바를 모른다면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라고 해명했다.

투바는 작년 4월 충북도와 향후 10년간 오송에 20억달러(2조2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협약했다.

이란 전통의학 공동연구소를 비롯해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에 적합한 신약 제품화 공장 건립, 임상병원 설립, 복제약 생산을 위한 투자에 나선다는 게 협약의 핵심 내용이다.

그러나 이 업체는 지난해 7·8월로 예정된 설립자본금 투자 약속을 지키지 못했고, 오송에 마련한 사무실 임대료도 수개월째 내지 못했다. 주변에서는 투자 무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