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공정 표준화·신제품 개발 완료되면
생산비용 절감위해 경기·충청지역 이전
인건비·물류비용 등 입지여건 우선순위

(동양일보 경철수 기자)수도권 제조업체의 지방이전 결정요인으로 ‘제품의 수명주기(개발에서 시제품 출시까지)’와 ‘입지적 여건’이 크게 좌우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0일 지역정책연구원이 정부의 수도권규제완화 정책이 시행된 2008년 전후를 기준으로 지난해 말 내 놓은 ‘제조업체 이전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자료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간 이전 사업체 수 2만3536개 중 27.8%(6533개)가 제조업이다.

광역 시·도간 이전한 사업체 수는 전산업이 4847개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이 2098개로 다음으로 많았다.

지역별로 경기도는 이 기간 403개 업체가 역외로 유출됐지만 1056개의 제조업체가 유입되면서 순수 이전해 온 653개 업체에서 1만3187명을 고용하는 ‘전국 최다 기업유치, 최다 고용’이란 성과를 냈다.

반면 서울은 805개 업체가 유출되고 72개 업체 만이 유입되면서 733개 업체가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충청권에선 충남이 34개 업체가 유출된 반면 136개(고용 3681명) 업체가 유입되면서 순유입이 102개 업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충북이 25개 업체가 떠난 반면 112개(3175명) 업체가 이전해 오면서 87개 업체가 순유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대전은 43개 업체가 떠나고 11개(184명) 업체가 이전하면서 결과적으로 32개 업체가 지역을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등은 상대적으로 기업유출이 많은 반면 경기, 인천, 경북, 경남 등은 업체 유입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충남, 충북, 경기, 경남 등에서도 기업 유입이 많았다.

이는 산업적인 다양성이 큰 서울에서 신제품이나 새로운 생산공정의 개발이 용이하기 때문에 초기에 입지했다가 생산공정의 표준화와 개발이 완료되면 인건비 등 생산비용을 줄이기 위해 이전하는 ‘제품수명 주기 입지이론’에 따른 분석이다.

전산업 등 사업서비스업의 이전은 제조업체로 하여금 회계, 법무, 광고, 연구개발, 디자인 관련 업무를 외주로 처리해 비용절감효과를 가져 올수 있기 때문에 덩달아 발전하게 된다는 것. 근로자의 입장에선 통근 가능거리, 협력업체의 입장에선 운송가능거리를 따지게 된다는 얘기다.

제조업체 유입이 많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평균 임금과 낮은 지가, 높은 교육수준, 잘 갖춰진 도로여건 등의 입지적 장점도 지녔다. 이윤추구를 제일 목표로 하는 기업의 입장에선 생산비용을 낮추기 위해 높은 임금보다 높은 노동생산성을 더 고려해 기업체 이전 여부를 고려한다는 해석이다.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전하는 기업체들이 중요시 여기는 것은 적정한 임금, 시장잠재력, 도로연장(물류비용) 등이다.

박동규 공주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일반적으로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에서 물류나 운송관련 기반시설이 상대적으로 열악하기 때문에 비수도권 이전 업체들은 판매제품의 수명주기와 함께 시장접근성과 도로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지를 가장 먼저 따지게 된다”고 말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