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18개 업체 생산·영업활동 분석결과
충북으로 본사 이전한 수도권 기업 1곳당 평균

(동양일보 경철수 기자)최근 7년여 간 충북으로 본사를 이전한 18개 수도권 기업의 생산·영업활동 결과를 분석한 결과 업체 1곳당 평균 생산유발효과는 27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3억원, 취업유발효과는 31명 정도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충북연구원이 한국은행 전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14년 3월까지 7년 3개월 동안 충북과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수도권 기업 134개 업체 중 충북으로 본사를 이전한 18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이 파악됐다.

이 기간 충북은 수도권 소재 기업 134건, 수도권을 제외한 타 시·도 305건, 충북도내 기업의 투자 16건 등 총 455건의 MOU를 체결했으며, 이 중 18개 수도권 기업이 본사를 충북으로 이전했다.

대기업이 2개, 중소기업이 16개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청주에 입지한 업체가 7개(38.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충주 5개(27.8%), 음성 3개(16.7%), 증평 1개(5.6%), 진천 1개(5.6%), 제천 1개(5.6%) 등이다.

업종별로는 식품제조업 1개,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2개, 의·약품 제조업 2개, 반도체 제조업 1개, 전자부품 제조업 2개, 전동기·발전기 및 전기 변환·공급·제어장치 제조업 1개, 자동차 부품 제조업 3개 업체 등이다.

충북으로 이전한 18개 수도권 기업이 생산활동을 영위하면서 전국적으로 708억원의 생산유발효과, 323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747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했고 충북 내에선 488억원(69.0%)의 생산, 236억원(73.1%)의 부가가치, 547명(73.3%)의 취업이 각각 유발됐다.

이는 업체당 평균적으로 생산유발 27억원, 부가가치 13억원, 취업유발 31명 정도의 지역내 파급효과를 발생시킨 것이다.

이 같은 연구는 2008년 수도권규제완화 이후 대표적인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장려정책 중 하나인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제도의 입지비용 지원 비율이 2013년 35%에서 2016년 30%, 2018년 25%로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서 수도권 이전 기업들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 지 보여주고 있다.

충북연구원 관계자는 “투자유치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자칫 무분별하게 단기적으로 가시적인 성과에 연연하다 보면 불법 임대수입을 올리려는 한계기업내지 정부의 지원으로 연명하려는 좀비기업 등이 이전하는 역선택(adverse selec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적응력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기존 기업들과 시너지효과를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견실한 기업을 선별적으로 유치하는 중장기적 관점의 투자유치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견실한 기업 중심의 효율적인 투자유치를 위해선 선행적으로 각종 정주여건 개선, 인력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수요맞춤형 인력양성,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기반 조성 등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기업의 입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투자여건 상의 차별화된 비교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