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음성군 삼성면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또 다시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했다. AI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특히 강원지역에서 첫 확진판정이 나오면서 영남을 제외한 전국으로 확산 추세다.
발생 20일이 지났지만 AI의 기세가 꺾이기는커녕 오히려 추위와 함께 더 확산할 조심을 보여 ‘오리의 씨가 마를 것’이라는 말이 나돌 정도다.
5일까지 충북도내에서 살처분 됐거나 살처분을 앞둔 가금류는 닭 103만6799마리, 오리 63만7950마리, 메추리 7만1100마리 등 74개 농가 174만5849마리다. 이 가운데 47개 농장이 AI 확진 판정을 받았다.
양계농장 3곳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이 결정되면 도내 살처분 마릿수는 AI가 기승을 부렸던 2014년 살처분 마릿수(180만9000마리)를 훌쩍 뛰어넘게 된다.
AI가 해마다 충북을 비롯해 전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입경로나 전염 확산 등을 사전에 모니터 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 마련 등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AI 확산은 다른 해와 달리 심각한 상황으로 갈 수 있는 정황들이 밝혀졌고 방역당국의 대응도 도마 위에 올랐다.
철새와 닭·오리에서 검출된 H5N6형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가축피해뿐 아니라 인체감염 우려까지 낳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이 AI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사전 모니터링을 통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실제 일본의 경우 가금류 농장을 대상으로 위험군 전수 조사와 무작위 추출 등 중복적, 정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가금류의 혈액조사와 시료분석을 통해 발병 유·무를 체크하는 등 AI 발병에 대해 선제적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자치단체는 매년 10월께부터 특별방역과 상시예찰, 비상근무, 철새도래지 등 분변 채취, 소규모 가금류 사육농가 방역 등 예방에 나서고 있지만 인력부족 등 확산을 막는 데는 역부족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매년 되풀이 되고 있는 AI 방역이 사후 처리에만 몰두하고 있는 셈이다.
매년 찬바람이 불면 어김없이 발생하는 고병원성 AI에 대해 농가는 물론 국민들도 우려감과 함께 방역당국에 불신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이미 오래 전부터 철새 등 야생조류가 고병원성 AI의 주범으로 낙인 찍혀왔고, 그 때마다 철저한 방역조치를 한다고 야단법석이지만 결국 올해도 같은 상황이 되풀이되고 말았다.
가금류에 대한 매몰처리와 방역조치 등 뒷수습에만 급급하고 면밀한 예찰과 예방에 소홀했다는 지적에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AI가 해마다 발생한다면 정부는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기존 발생 지역 따라다니기식 대응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AI 진단과 처방에 걸리는 시간도 최대한 당겨야 한다. 일단 방생하면 즉각 과감한 살처분과 철저한 이동 제한 조치는 기본이다. 사후 조치식 당국 대응은 늦을뿐더러 피해 방지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효율적인 방역체계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