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전국 300여개 중소기업 CEO설문…“정부 대응전략 필요”

(동양일보 경철수 기자)전국 제조 중소기업 CEO(최고경영자) 10명 중 5명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어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전국 300개 제조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조사에서 이 같이 나왔다고 6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중소기업 10곳 중 5곳(52.3%)은 ‘전혀 모른다’고 답했으며, ‘들어만 봤다’는 응답은 36.3%, ‘내용을 알고 있다’는 답변은 11.4%에 그쳤다.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제조업 영향에 대해선 중소기업 64.0%가 타격을 우려했는데 ‘부품 등 일부 업종 타격 우려’가 44.3%로 가장 높았고 ‘주력 제조업 큰 타격 우려’가 19.7%로 뒤를 이었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의 준비·대응 정도는 ‘못하고 있다’가 93.7%로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철저히 준비·대응하고 있다’는 0.3%에 불과했다.

4차 산업혁명의 변화 속도에 제조업이 적응 못할 경우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10년 경쟁력위기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했다. 구체적으로 49.7%가 ‘2020년 내’, 40.0%가 ‘2025년 내’라고 답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중소기업이 예상하는 제조업 혁신 주도국은 미국이 35.3%로 중국(33.0%)을 앞섰으나, 시장 선도국은 미국(27.3%)보다 중국(43.0%)을 꼽아 제조업 강국 주도권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이할 점은 많은 중소기업이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을 높게 평가함에 따라 지난해 발표된 ‘중국 제조 2025’ 전략이 그린 2025년의 중국의 모습을 주목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중소제조업 CEO들은 신소재개발(40.7%)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전략 육성할 분야로 꼽았고, 다음으로 AI(인공지능)가 27.0%, 스마트공장의 핵심인 IoT(사물인터넷)와 빅데이터·분석이 각각 21.3%, 21.0%로 뒤를 이었다.

따라서 신소재 개발과 함께 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공장 등을 통한 제조업 혁신이 중소기업에도 지속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바람직한 정부 정책방향으로 절반이 넘는 중소기업(55.3%)이 ‘중소기업이 참여 가능한 방향으로 개편’을 꼽았다.

중소기업의 목소리를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대목이다.

이어 중소기업 인력난을 반영하듯 창의적 인재 양성(42.3%)과 ICT(정보통신기술)융합기술 투자 및 조세지원(39.3%)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최윤규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경제구조가 대기업 중심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 된다”며 “중소제조업도 스마트 공장 도입 등을 통해 선제 대응할 필요가 있고, 중소기업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대응전략 마련과 창의적 인재 양성, 신산업 육성을 위한 법률 정비 및 규제 혁신 등 선제적 뒷받침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