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부 박장미 기자

대한민국이 늙어가고 있다. 급박한 고령화 사회로의 전개는 우리가 고심해 봐야 할 또 다른 요인이기도 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2065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올해 3763만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내년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고령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당장 내년부터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추월한다고 한다. 아이보다 노인이 많은 본격적인 고령 시대로 돌입하는 것이다.

과연 우리는 고령화 시대를 맞을 준비가 잘 돼 있는지 짚어봐야 할 시점이다.

인터뷰를 위해 어느 독거노인의 집을 찾은 적이 있다. 정리되지 않은 집, 곰팡이가 슬어 얼룩덜룩해진 벽지는 그의 고된 삶을 잘 보여줬다.

5년전 아내를 여의고 나서부터 홀로 살기 시작했다던 그는 수당만으로 생활을 근근이 이어나가고 있었다.

당장 거리에 나가도 유모차를 끌고 다니며 폐지를 줍는 노인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노인들 사이에서 불법 광고물수거보상제의 인기는 더 이상 집에서 쉬고 있을 수만은 없어 거리로 나온 그들의 처지를 짐작하게 한다.

고령 시대를 맞는 우리의 준비는 충분하지 않다.

고령화와 저출산은 궤를 같이한다고 할 수 있는데 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노후를 개인과 가족의 보호에 맡길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고 생산인구의 감소가 나타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노인 복지 비용 증가에 따른 대책이 시급하다.

이제는 고령화 시대에 대한 대비를 정부에게만 맡길 것이 아니라 지자체와 기업 등이 함께 대처방안을 찾아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