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수익 감소 등 기능 통폐합 이해하지만
고령인구 모바일 이용 못해 서비스질 하락

지역세 비슷한 호남권 보다도 100개 적어

공적서비스 차원 지방은행 설립필요 고개

(동양일보 경철수 기자)1%대 저금리 기조 유지와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면서 충청권 금융점포가 대폭 줄고 있다. 내수경기 위축으로 금융권이 기능 조정에 나선 것이지만 일각에선 점포수가 줄어 고객들의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옆 동네로 은행 업무를 보러 가야 하는 서비스 질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한국은행 충북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3년~2015년말) 예금은행 19곳, 비은행금융기관 16곳 등 모두 35개의 금융권 점포가 문을 닫았다.

은행권 점포수는 예금은행과 일반은행, 시중은행이 각 3곳씩 감소한 151곳, 87곳, 87곳이 운영되고 있고, 다음으로 국민은행이 2곳 감소한 22곳, SC제일은행이 1곳 감소한 3곳으로 집계됐다. 우리(16), 신한(34), 씨티(1), KEB하나은행(11)은 변동 상황이 없다.

비은행권에선 자산운용회사와 신탁회사가 가장 많은 5곳씩 감소해 각각 178곳, 174곳이 영업중이다. 이어 상호금융이 3곳 줄어든 76곳, 우체국이 2곳 감소한 139곳, 신용협동조합과 새마을금고가 각 1곳씩 줄어든 80곳과 55곳이 운영되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1곳으로 변함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오는 15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연 1.25%의 현 금리수준을 유지할 지 고민에 빠졌다. 탄핵 정국에 미국발 금리 인상 움직임까지 겹치면서 시중은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은의 고민이 깊어진 것이다.

국정 리더십 붕괴와 경기 위축이 가속화되면서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를 통해 부양책을 써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14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와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로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충청권 시중은행들의 점포 감소비율은 대전시가 가장 많은 4.9%로 10개 점포가 사라졌으며 충북 2.0%(3개), 충남 1.0%(2개) 순으로 점포수가 감소했다.

이는 온라인과 로보어드바이저 등 시중은행의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면서 은행들이 폐점하거나 기능을 통합한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의 전국 영업점포 수는 총 7437개로 충청권은 대전 198개, 충남 218개, 충북 149개 등 총 565개로 파악됐다.

이는 서울·인천·경기 수도권 4237개,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1804개, 광주·전북·전남·제주 호남권 687개, 강원 142개 등 강원권을 제외한 전국 권역 중 가장 적은 점포수다.

인구가 집중돼 있는 수도권이나 영남권과의 비교는 사실상 어렵지만 지역세가 비슷한 호남권과 비교해도 100개 점포 이상 차이가 난다.

충청권 은행 점포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이유는 지역을 대표하는 지방은행이 없기 때문이란 분석도 나온다. 과거 지방은행이던 충북은행을 조흥은행이 인수하고 조흥은행이 신한은행에 통합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 충청은행을 하나은행이 인수하면서 효율성을 높인다는 이유로 기존 영업점을 통폐합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모바일 비대면 서비스가 소비자들 사이에 급속히 확산되면서 지역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외각 지역 점포를 통폐합하고 있다”면서 “갈수록 비대면 서비스가 증가하면 이 같은 비수익 영업점포의 폐점률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지역을 대표하는 지방은행 설립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지역금융권 한 관계자는 “오랜 경기침체로 수익성이 나빠진 각 은행들이 갈수록 영업점포를 줄이는 추세”라며 “은행들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갈수록 노령화되는 추세에 모바일에 약한 고령자들을 고려한다면 이 같은 통폐합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니 공적서비스 차원의 지방은행 설립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