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조아라 기자) 충북도내 여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종사자의 3분의 1이상은 피해 지원업무 수행 과정에서 폭력이나 위해를 경험했다는 연구 조사 결과가 나왔다.

충북여성발전센터가 최근 발간한 ‘여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종사자 안전·위험관리 매뉴얼 개발 연구’에 실린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41.3%(38명)가 피해 지원업무 수행 과정에서 폭력이나 위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내 여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종사자(110명)의 34.5%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즉, 도내 여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종사자 중 3분의 1 이상이 피해 지원업무 수행 과정에서 폭력이나 위해를 경험한 것이다.

이번 설문 조사는 지난해 9월 19~30일 충북 도내 여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12개소 종사자 92명(여성 86명, 남성 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내용은 크게 4개 항목으로 구분되며, 항목별로 시설 안전·위험관리 체계 관련 문항 26개, 사무실의 안전한 환경 구성 관련 문항 10개, 상담실 또는 생활실의 안전한 환경구성 관련 문항 14개, CCTV 설치 및 관리 관련 문항 12개로 총 62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종사자에게 폭력 및 위해를 행사해 피해를 입힌 사람의 유형으로는 여성폭력 행위자가 28.9%로 가장 많았으며 내담자(생활인)도 25.3%로 높게 나타났다.

행위자별 폭력 및 위해 유형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폭력 및 위해 행위자가 ‘내담자나 생활인’이었던 경우 폭력 및 위해 유형은 요구 불응에 따른 불평, 비난, 원망과 째려보기, 노려보기가 각 10.7%로 가장 많았다. 욕설을 들은 경우도 9.0%로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종사자에게 폭력을 행사한 사람이 ‘여성폭력 행위자’였던 경우 협박이 16.8%, 욕설이 12.6%, 비하 발언이 1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폭력 및 위해를 경험한 종사자의 정서적 반응은 ‘당황 또는 난처함’이 18.7%로 가장 많았으며 불안이나 두려움을 느꼈다고 응답한 비율도 18.0%, 17.3%로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폭력을 경험한 종사자에 대한 사후조치 수요를 질문한 결과 정신(심리) 자문, 상담 제공이 13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과 위험 관리를 위한 교육 제공(126점), 휴식기간 제공(90점)에 대한 수요도 다른 항목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 5점 만점에 3.58점으로 보통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감정노동 역시 5점 만점에 3.30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시설에 따라서는 생활시설 종사자들이 이용시설 종사자에 비해 내면행위 감정노동을 더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종사자의 소진 수준을 살펴본 결과 2.39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이용시설 종사자의 소진 평균은 2.4점으로 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 평균 2.30점 보다 높았다.

신변안전 인식 수준의 평균은 2.95점으로 다른 업무와 비교해 자신의 업무의 경우 신변안전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신변위협 스트레스의 평균은 3.00점으로 신변안전 관련 하위 영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정책 과제로 △교류·협력 체계 구축과 고충기구 마련 △위험사정을 통한 시설 환경 진단과 공간 개선 △안전 시스템 확충 △주기적인 심리 지원체계 및 슈퍼비전 체계 마련 △주기적인 교육과 훈련의 실시 △종사자의 처우 개선과 법적 근거 마련 등을 제안했다.

이혜경 충북여성발전센터 연구개발팀 연구원은 “여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종사자의 안전과 위험관리에 대한 현안과 실태가 활발히 공유돼야 한다”며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근로환경 조성을 위해 시설에 대한 위험사정을 정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