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이 핵심 교육정책으로 추진하겠다고 한 행복교육지구 사업이 도의회에서 예산 전액을 삭감한다는 결론을 내려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김병우 교육감이 핵심 교육정책으로 추진하는 이 사업은 지역특색에 맞는 교육사업을 추진해 지역 전체의 교육력을 높이고 정주여건을 강화시키는 것이 골자다.
지역교육청과 지자체가 함께 협력모델로 추진하려고 한 이 사업은 충주와 제천·진천·음성·괴산·보은·옥천 등 7개 지역이 공모에 참여해 모두 선정되는 결과를 얻어냈다.
도교육청은 공모에 참여하지 않은 청주·영동·증평·단양지역을 위해 별도 기반구축비를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지만 전액 삭감을 당론으로 정한 새누리당 소속 도의원들의 반대로 무산될 위기에 처해 졌다.
도의회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새누리당 소속 도의원들이 반대 입장을 거두지 않아 도교육청 입장에서는 난처할 따름이다.
물론 도교육청도 지난해 12월 도의회 예결특위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사업예산 전액이 삭감된 이후 사업추진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는 소문이 나돌아 도의회 책임으로 돌리기에는 애매모호하다
이뿐만 아니라 예결특위에서 관련예산이 삭감된 이후 곧바로 추경에 예산을 제출했다고 하니 도의원 심기를 건드리기에 충분했다는 후문이다.
도교육청은 행복교육지구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올해를 ‘행복교육지구 원년’으로 삼았다고 한다.
민·관·학 3자가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별 교육 인프라를 체계화시키고 교육자원 지도를 개발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한다고 했다.
이를 통해 지역특성과 전통·문화를 살린 맞춤형 교육체제를 구축하고 도교육청이 종합적 협조 체계를 운영하는 등 네 가지를 중점 추진한다는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하지만 도교육청의 야심찬 계획은 도의원 대부분이 관련예산 삭감이라는 초강수를 두는 바람에 물거품이 될 위기를 맞고 있다.
김병우 도교육감이 추진하는 행복교육지구의 근본적인 목적은 민·관·학 벽을 허물고 협력해 지역 교육생태계를 복원하자는 취지다.
이런 제안을 하게 된 이유는 앞으로 다가올 인구감소에 따른 지자체 소멸이라는 대명제를 배경으로 삼았다고 한다.
‘마을은 아이를 품고 아이가 자라서 마을을 품는다’는 비전도 내세워 지자체와 교육지원청, 지역사회가 소통으로 다양한 교육인프라를 체계화 한다는 목표도 세웠다고 한다.
학교를 거점으로 지자체 평생교육 프로그램 연계와 학부모와 주민이 스스로 꾸려가는 마을학교를 통해 마을교사를 양성, 이들이 학교에 들어오도록 추진한다고 하니 교육계와 지자체 협력모델이기에 충분하다.
이 사업은 학교혁신과 진로교육, 교육협력, 교육복지, 창의적 교육과정, 방과 후 학교 등 여러 사업과 연결된 종합적인 사업이라고 한다.
학교가 살아나야 아이들이 행복해질 것이고, 교육생태계 복원을 통해 마을이 살아나야 관심과 사랑 속에 자란 아이들이 지역으로 다시 돌아오고 지역이 성장할 것이라는 비전도 담겨 있다.
도교육청은 다양한 비전을 실현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새누리당 소속 도의원뿐만 아니라 도민들을 잘 설득해 행복교육지구 사업이 소통과 새로운 협치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주력해야 한다.
그래야만 충북의 더 밝은 미래를 만드는 교육사업이 전폭적인 지지와 성원을 받을 수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