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지역경제 회복력 진단 및 증진방안 연구결과
4반세기 2차산업 46.7%로 16.3%성장 1·3차산업은 감소
일찍 ‘충북 어젠다 2010’ 세우고 산단조성·기업유치 유효

(동양일보 경철수 기자)중국의 사드보복과 미국발 트럼프 리스크 등 불확실한 경제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제조업 중심의 충북경제가 외부충격도 덜하고 회복력도 빠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일 국토연구원이 내 놓은 ‘지역경제 회복력 진단 및 증진방안 연구’ 자료에 따르면 충북의 산업구조는 1990년대 1차 산업 7.7%, 2차 산업 30.4%, 3차 산업 61.9%에서 4반세기(24년) 만인 2014년 말 1차 산업 3.7%, 2차 산업 46.7%, 3차 산업 49.6%로 1, 3차 산업이 각각 4%와 12.3%가 줄어든 반면에 2차 산업은 16.3%가 늘었다.

시·도별 충격회복력 측정결과를 종합한 결과 충북의 제조업 생산지수는 0.02404로 충남(0.04019)과 대구(0.02421)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으며, 제주(0.02281)와 전남(0.02068)이 그 뒤를 이었다.

충북, 충남, 전남, 제주는 충격을 덜 받으면서 회복도 빠른 지역으로 분류된 반면 대전과 전북, 대구는 충격은 많이 받지만 회복이 빠른 지역으로 구분됐다.

충북의 경우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고용성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충북은 지역경제의 전반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고용에서 충격 여파가 관철되지 않았고 동시에 제조업 생산, 서비스업 부문에서의 판매 모두 충격도 덜하고 회복력도 빠른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는 충북 중·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산업단지가 개발돼 수도권과 상대적으로 인접해 있고 경부와 중부고속도가 지나는 청주, 음성, 진천 지역을 중심으로 제조업 시설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충북은 반도체, 바이오, 전기전자부품, 이차전지 등의 전략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며, 최근 태양광산업, 동력기반 기계부품산업을 주력산업으로 추가 육성했다.

충북경제 회복력의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은 인프라 측면에서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시행에 따라 충주 기업도시와 진천·음성혁신도시가 건설되면서 그간 토목 및 건설부문을 중심으로 직접투자가 이뤄져 투자 및 정주여건이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또 교통 및 산업단지 인프라 확충으로 수도권과 인접한 진천, 음성, 청주 등의 수도권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공장용지 면적 증가에 따른 투자여건이 개선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부터 첨단 제조업에 관한 집중적인 자본 및 연구개발투자에 따라 충북의 제조업 부문 노동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돼 왔으며 이를 통해 제조업 분야의 고부가 가치화를 실현한 점이 충북경제 회복력 증진을 견인한 것으로 판단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농림어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은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충북의 산업구조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2차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전국에 비해 월등히 높아 충북경제의 회복력을 높였다”며 “2006년 민선4기 출범과 함께 ‘충북 어젠다 2010’을 수립하고 ‘경제특별도 충북’이란 슬로건 아래 투자환경 조성 및 기업유치 전략을 일찍부터 공격적으로 추진한 것이 유효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