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2030 도시기본계획'을 다시 짜기로 한 것은 바람직한 결정이다.

2030 도시기본계획은 도시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라기보다 블록별 쇠퇴 진단이 중심이다. 그러다 보니 도시전체의 공간 틀을 짜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게다가 변수도 생겼다.

새정부 공약과 맞물려 있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조성과 트램 중심의 도시철도2호선 건설 등으로 장기적인 플랜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전시의 도시계획 변경에는 이런 사정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이왕 새롭게 할 요량이면 대전의 장기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청사진이 되어야 한다.
대전시가 지난 2013년 작성한 2030도시기본계획은 '2핵·10거점·13생활권'에 대한 다분히 선언적인 차원의 언급에 그친다. 도심의 발전 방향에 대한 구체적 고찰이 없다. 도심과 부도심의 기능적 연계는 물론 각각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서도 이렇다 할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 대전이 안고 있는 도시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엔 근본적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대전은 산업화를 거치면서 개발 일변도 정책의 폐해가 심각한 도시다. 이의 대안으로 요청된 것이 도시재생 사업이다. 다행히 그간 대전은 ‘무지개프로젝트’라는 사업을 통해 주거형 도시재생은 어느 정도 실현해 왔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한 게 사실이다. 도시의 중심축인 도심이 살아야 도시 전체의 활기를 불어넣고 새로운 경제 기반을 만들 수 있다. 대전은 특히 이 부분이 부족하다. 이번 도시기본계획 손질에 도심재생 개념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는 이유다.
우리나라는 도시재생 사업 후발 주자다. 지난 2013년 말 도시재생특별법이 만들어져 정부 지원이 시작된 게 올해로 고작 4년 차다.

그런 가운데서도 정부와 도시, 지역 주민이 협력해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면서 전북 군산시처럼 작지만 다양한 변화를 끌어내고 있다. 군산시는 항만 기능이 이전하면서 쇠퇴했던 구도심을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관광지로 개발해 지난해 관광객이 100만명을 돌파했다. 군산 구도심은 일본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내항의 항만기능이 1990년대에 외항으로 이전하면서 인구가 70% 이상 줄었다.

그러다 군산시가 2014년 도시재생선도지역에 포함되면서 본격적으로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됐다. 군산시는 옛 검역소와 시청 등 일제 침탈기에 세워진 구도심의 근대식 건물 등을 중심으로 관광 인프라를 구축했고 게스트하우스 협동조합인 '펀빌리지'를 통해 관광객에게 숙박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런 노력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기 전인 2013년 22만명 수준이던 연간 관광객은 지난해 102만명으로 급증해 지역 경제발전이 기여하고 있다.

도심재생에 대한 전략 마련과 장기적 플랜을 고민하는 대전시로선 참고할 만한 내용이다.

도시재생은 전면 재개발과 다르면서도 소프트웨어 측면에 너무 치중해서는 안 되는 통합화된 사업이다. 문화·사회·경제적인 부분을 포괄하므로 공동체 의식은 더 많이 요구된다. 때문에 이번 도시기본계획은 수립 단계부터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이 있어야 할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