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올 초부터 미세먼지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새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미세먼지 잡기에 시동을 건 것은 국민 건강을 위해서다.
역대 정부에서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인식하면서도 대책 마련에는 미온적이었던 점을 비춰 볼 때 새 정부의 적극적 해결 의지는 바람직하다.
미세먼지는 이제 우리의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과거 봄이면 되풀이되던 황사에 대한 우려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다.
하지만 전국의 전체 시·군·구 가운데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기초 장치가 하나도 없는 곳이 무려 81곳에 달한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바른정당 황영철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229개 시·군·구 중 35.4%에 해당하는 81곳에 도시대기측정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설치된 측정망 264개 가운데 42.8%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만 편중돼 운영되고 있는 상태다.
이는 도시대기측정망 설치기준이 인구 10만을 원칙으로, 10만 미만인 도시라도 공업시설 등으로 대기질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 설치하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측정 장비가 없는 경우 해당 지역 미세먼지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미세먼지 측정망이 있는 인접 시·군·구 자료를 참고해야 한다.
문제는 측정 장비가 없는 지역 대다수가 충청도와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와 같은 농촌지역으로 고령인구가 많아 정보 접근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건강상 피래도 우려된다는 점이다.
시·도별 미설치율을 살펴보면 전남이 77.3%로 가장 높았고 충남 73.3%, 강원 72.2%, 경북 69.4%, 경남 61.1%, 충북 54.5% 순이다.
충남은 15개 시·군 가운데 천안시와 아산시, 당진시, 서산시를 제외한 11곳에 장비 설치가 돼 있지 않았다.
충북은 11개 시·군 중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진천군 등 5곳에 설치됐다.
미세먼지의 위험성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정작 농촌지역에는 측정을 위한 기초장치 조차 없는 것이 부기수인 셈이다.
물론 미세먼지 발생 빈도와 농도가 높은 수도권에 측정장치가 많이 설치된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중국과 인접해 있고, 화력발전소가 밀집해 주된 미세먼지 발생지로 지목되고 있는 충남지역에 측정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1급 발암물질인 미세먼지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농촌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책은 사실상 없는 것이 현실이다.
농촌의 고령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대비 40%를 넘고 있다. 장시간 실외노동을 하는 농촌지역 고령의 주민들이 미세먼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됐을 경우 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미세먼지 문제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에도 측정소가 없어 미세먼지의 농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은 농촌이 미세먼지 문제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공기 중에 떠도는 미세먼지의 특성상 농촌도 피해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농촌에 적절한 측정망을 갖춰 미세먼지에 대한 주민들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