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전국 초등교원 선발인원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교육부가 발표한 초등교원 수급계획은 지난해보다 30% 이상 선발인원을 감소시켜 놨다.

교사직군까지 취업난을 겪고 있다지만 수년째 미달사태가 이어진 충남·북 등 지방교육청은 선발인원 감소로 인해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과 광역시 교육당국이 올해 발표한 선발인원은 앞서 진행한 사전예고보다 대폭 인원을 늘려 실망감이 커지게 될 전망이다.

사전예고보다 인원을 대폭 늘린 대도시지역 때문에 반사이익 기대감을 갖던 지방 도 단위 교육청은 혹여 교원수급이 차질을 빚을까봐 걱정이 앞서고 있다.

초등학생을 가르칠 교사를 구하지 못해 빚어지는 이 같은 현상은 요즘 세태를 반영하듯 씁쓰레하다.

초등교원 응시자 대부분이 대도시를 선호하며 빚어진 현상으로, 그 이유는 교육계 전반에 불어 닥친 각종 현안이 주 원인이다.

원인을 따져보면 예비 초등교원 응시자 성비 대다수가 여성이다.

지방 도 단위 교육청에 응시해 합격할 경우 초임 대부분은 농촌지역에 배치된다.

지난해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섬마을 여교사 사건 파장도 지방교육청이 교원수급에 차질을 빚는 주요 원인에 속한다.

초임 발령 이후 전보제한에 걸려 대도시 전입을 못하고 있는 20대 여교사들의 사정을 파악해보면 딱하기가 이를 데 없다.

동등한 교사임에도 불구하고 거주 여건과 교육환경이 ‘천양지차(天壤之差)’인 도시와 시골을 비교해보면 확연한 차이를 알 수 있다.

당연히 지방 도 단위 교육청이 초등교원을 수급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지방 교대를 졸업한 뒤 초등교원 임용시험에 응시할 경우 가산점을 주고 있지만 이마저도 무용지물이다.

농민들이 다른 산업에 취업할 기회를 얻기 위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을 일컫는 ‘이촌향도(離村向都)’ 현상이 교육계에도 불어 닥치고 있다.

이 같은 바람이 교육계 전반에 불고 있지만 교육당국은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핀잔만 듣고 있다.

기간제 교사 수급 문제도 대두됐지만 정치 논리에 가로막혀 한 발짝도 진전이 없다.

문 대통령 공약인 비정규직 정규직화 논란에 기간제 교사들이 합세했지만, 교대생들과 교사 임용고시 준비생 반발에 부딪혀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

정부는 이들 기간제 교사들로 하여금 교원수급 부족 문제를 해소하려고 접근했지만, 그나마도 역부족이라는 사실만 확인시켜 줬다.

지방 도 단위 교육청의 초등교원 수급 부족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교육계가 장기적 또는 전폭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풀릴 수 있는 일이다.

당장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문제도 초등교원 수급과 연동해 다뤄야 할 시급한 사안이다.

물론 농·산·어촌 작은학교 살리기 사업을 도입해 대폭 증액된 예산을 투입하고 지원기간 확대 등을 통해 실효성을 높인다지만 현실감이 뒤떨어진다는 게 중론이다.

영화 ‘선생 김봉두’에 나올법한 교사라도 시골학교 부임을 기대하기가 어려워진 게 현실이다.

초등교원 수급이 불투명해져 영화 ‘선생 김봉두’ 주인공 같은 교사라도 학부모들이 기대한다면 교육이 백년대계라는 말이 무색해지고 나라 망하는 지름길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