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식(편집국 국장/괴산 증평지역 담당)

▲ 김진식(편집국 국장/괴산 증평지역 담당)

민족의 대명절 추석이 도래하고 있다. 올해 추석은 최장 10일에 달하는 긴 황금연휴로 이어져 모든이들을 설레게 하고 있다.
중추절, 가배, 가위, 한가위라고 불리기도 하는 추석은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유래했다. 신라와 고려시대에도 추석명절을 쉬었고 조선시대에는 국가적으로 선대왕에게 추석제를 지낸 기록도 남아 있다.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 유리이사금조에 따르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누어 공주 2명이 각 부의 여인들로 팀을 구성해 길쌈과 적마로 한 달간 자웅을 겨루었다.
행사 마지막날인 8월 15일(음력)에 이르러서는 그 성과의 많고 적음을 따져 패 한쪽에서 술과 음식으로 승자를 축하하고 가무를 하며 각종 놀이를 즐겼다. 이때 회소곡 (會蘇曲)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를 가위라고 불렀다. 이 행사를 가배라 부른 것은 여러 의미가 있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음력 8월 15일은 대표적인 만월 명절이므로 지금의 추석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후기 백과사전격인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추석행사를 가락국에서 나왔다고 저술하고 있다. 이처럼 가윗날은 한국의 고유한 명절로 오래 전부터 인식 돼 왔다.
전국적으로 다양한 놀이도 전승되고 있다. 호남 남해안 일대에서 행하는 강강술래와 전국적인 소먹이 놀이·소싸움·닭싸움·거북놀이 등은 한해 농사의 풍년을 축하하는 의미가 있으며, 의성 지방에서는 가마싸움이 전해지고 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속담이 있다. 각박한 세상사에 혼술, 혼밥이라는 신조어가 생길만큼 나홀로 족들이 늘어나는 것이 최근 실태라지만, 며칠 후면 민족대이동이 시작되는 추석황금연휴가 시작된다. 올 추석명절에는 모든이들이 고향을 찾아 가족과 예쁜 송편을 빚어 조상의 음덕을 기리고 사랑하는 부모님, 일가친척과 같이하는 가치 있는 풍요롭고 풍성한 한가위가 되길 바래본다. <김진식>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