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전부터 시작된 지역에서의 아파트 공급 과잉 사태는 시행사나 시공사 모두에게 위기로 다가오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지역으로의 유입 인구가 급격히 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땅만 있으면 아파트를 지어 분양하려는 90년대식 돈벌이 방식이 아직도 팽배히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자칫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조합원 아파트가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고 일반 분양 아파트도 여기저기 부지만 확보하면 건축만 서두르고 있다.

경쟁적으로 곳곳에 아파트가 세워지다보니 당연히 미분양이 속출하게 됐다.

물론 주택 공급 비율이 100%가 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의 발표가 있지만, 반드시 맞는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집을 마련하고 싶어하는 서민들은 지금도 아파트를 선호하고 있다.

월급을 쪼개 착실히 모아 계약금이라도 마련하려 애쓰는 평범한 직장인들이 적지 않음을 우리 주변에서도 손쉽게 볼 수 있다.

원룸에서 월세를 내며 신접살림을 시작해 전세 주택으로 이사하고 다시 돈을 모아 전세 아파트로 옮기고, 마지막으로 주택 담보대출을 받아 자신의 아파트를 장만하는 일반적인 순서를 밟고 있는 이가 적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없다고 못박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도 미분양이 수없이 발생하는 이유는 가격 때문이다.

평범한 소시민이 구입하기에는 너무나 높은 아파트 값은 그저 그림의 떡일뿐이다.

지난해 10월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충북 청주의 경우 미분양 아파트 수가 2000세대를 훌쩍 넘고 있다.

오송 바이오폴리스 지구의 한 아파트는 970세대 중 분양이 35세대에 그치자 계약자들에게 계약금을 돌려주고 임대아파트로 전환했다는 소식이다.

그러나 청주 지역은 아직도 새로 건축을 앞둔 아파트가 많다.

동남지구와 청주테크노폴리스, 복대동 등에도 신규 아파트를 짓기 위해 준비 중이다.

조사에 따르면 2020년까지 입주할 아파트만 방서지구에 3695세대, 청주테크노폴리스 3241세대, 동남 1113세대 등 40개 단지에 3만3383세대에 달한다고 한다.

충북도를 비롯해 지자체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놓고 대책 마련을 하고 있지만, 확실한 대책을 찾기가 수월하지 않은 모습이다.

단지 미분양 해소를 위해 사업계획이 승인된 공동주택 분양시기를 조절하는 수준이다.

시행사나 건설사들이 아파트를 짓는 행위 자체를 탓할 수는 없다.

국민들의 주택 공급 차원에서 아파트 단지 조성이 많이 된다는 점은 오히려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좀더 현실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라면 서민들이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의 아파트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턱없이 비싼 가격의 아파트를 많은 빚을 떠안고 구입하기에는 서민들로서는 부담이 크다.

지역별로 가격의 높낮이가 존재하겠지만, 전반적으로 인하시키는 방안은 지금의 미분양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굳이 시공비를 운운하지 않더라도 주택건설사들 스스로가 욕심을 버린다면 미분양을 해소하고 더 큰 손해를 방지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