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과 대전, 충북과 충남 등 충청권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관계 기관과 학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비책을 찾기를 바란다.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 규모는 5.4였고 지난해 경주 지진은 5.8 규모였다.

지진 규모가 6.0에 가깝게 되면 건물 벽에 균열이 오고 사람이 서있기 곤란한 상태라고 한다.

포항이나 경주에서는 건물 손상이 발생했고 인명 피해로 이어질 지경이었다.

이웃나라 일본은 7.0이 넘는 지진이 발생하면서 교량이 파괴되고 산사태와 지각 균열이 일어나 심각한 피해를 입은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우리가 딛고 서 있는 땅이 흔들리고 갈라지는 자연재해를 사람이 막는다는 것은 어찌보면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자연재해라 하더라도 그 피해를 줄이는 노력 정도는 사람이 해볼 수 있다.

1988년부터 우리나라에도 내진 설계 규정이 명시면서 건물 설계에 있어 지진을 대비토록 하고 있다.

내진 설계 규정은 수정을 거듭하며 강화되고 있는데, 지진에 대한 이러한 대비는 한사람의 목숨을 건지는 최소한의 방책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건물은 여전히 지진에 취약해 국민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31종 10만5448개 공공시설물 내진율이 43.7%라고 발표했다.

민간 건축물까지 포함한다면 내진율은 상당히 추락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충청권은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더 심각하다.

대전시 내진율은 36.7%, 충남도 내진율은 24.7%, 충북도는 21.7%다.

주민들이 살고 있는 주택도 대전은 내진 대상 2만9058동 중 1만1854동이 내진 관련 조치가 완료되면서 40.8%의 내진율을 보이고 있다. 절반이 되지 않는다.

충남은 내진 대상 주택 4만4531곳 중 1만1944호가 내진 설계·보강을 마쳤다니 3만 이상의 주택은 지진에 취약한 상태다.

충북은 내진 설계 대상 주택 5만2723곳 중 내진 설계가 반영된 건물은 23.7%인 1만2470곳에 그치며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각 지역별로 학생들이 매일 머물고 있는 상당수 학교 역시 지진 피해에 위험하게 노출돼 있다. 수업 중 발생하는 갑작스런 지진은 많은 학생들을 다치게 할 수 있다.

공장도 무방비 상태다. 내진 설계 규정 이전에 건축된 공장은 지진 발생시 피해가 우려된다.

공장 내 시설의 파손은 물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들이 다치거나 생명에 위협을 받을 소지가 충분히 있다.

도로나 다리 등 시설물도 지진으로 인해 타격을 입을 경우 그 곳을 지나는 수많은 목숨을 잃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충청권 각 지자체들을 비롯해 관계 기관은 머리를 맞대고 향후 벌어질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대비해야만 한다.

학계를 비롯해 지진 관련 전문가들을 불러 지진 발생으로 인한 지역민들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려는 노력만은 해야한다.

정답이 없는 막막한 문제라고 반론할 수 있겠지만, 소극적인 자세를 버리고 지진 피해 대비에 나서줄 것을 충청권 지역민들은 바라고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