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지방선거에서 기호 1번을 차지하기 위한 정치권 전략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기호 1번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향후 정국 주도권과 맞물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호 1번을 받은 정당이 향후 정치 상황에서 어떤 이득을 볼지 정치권은 다양한 셈법으로 판을 짜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기호를 정하는 기한은 오는 5월 25일에 결정된다. 중앙선관위가 이날 후보자 등록을 끝낸 뒤 국회의원 원내 의석수를 기준으로 기호를 배정하게 된다.

현재 국회의원 의석수는 더불어민주당이 121석이고 자유한국당은 117석으로, 현 상황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번을 차지할 확률이 크다. 하지만 4석 차이로 인해 현재 정치적 환경이 언제든지 뒤바뀔 수 있는 변수가 상존해 양당 모두 불안한 속내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선거에 나설 채비를 갖춘 소속 국회의원들이 넘쳐나지만, 상대적으로 자유한국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출마를 썩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이번 지방선거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출마가 이어질 경우 의석수 변화에 따라 자칫 기호 1번을 야당인 자유한국당이 꿰차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급기야 당 지도부까지 나서 소속 국회의원들의 출마를 자제시키고 만류까지 한다고 하니 기호 1번을 차지하기 위한 양당의 몸부림이 볼 만한 뉴스거리다.

포괄적 의미로 정국 주도권을 누가 가져가느냐의 여부에 따라 정치적 환경도 변하겠지만, 국면 전환에 필요한 기호 1번을 차지하기 위한 노력은 정당 입장에서는 처절하리만큼 치열하다. 지난해 5월 치러진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은 기호 1번을 배정받아 승리를 거머쥐고 국내 정치 환경을 한순간에 바꾸며 개혁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는 달콤한 기억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대표 정당이라는 정치적 상징성도 기호 1번과 연관돼 있다. 과거 보수정당을 지지했던 고령층 유권자들은 묻지마 투표 경향이 거세고 특정기호를 내리 찍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더불어민주당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기호 1번을 배정받지 못할 경우 투표 참여율이 높고 보수 성향인 고령층 유권자들 때문에 자칫 정국 주도권을 뺏길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급기야 현역 국회의원이 사퇴한 뒤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것 자체를 막는 이유도 1당 사수를 통한 정국 주도권 등 여러 복잡한 정치 환경을 고려한 고육지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도지사와 도교육감, 시·도의원과 비례대표 시·도의원, 기초의원과 비례대표 기초의원, 시장·군수 등을 뽑기 위한 투표용지가 여러 장인 까닭에 고령 유권자는 투표장에서 기표에 애를 먹곤 한다.

선거별로 구분해 잘 찍을 유권자가 몇 %인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개표장에서 무효표로 판명된 기표용지만 보더라도 묻지마 투표와 특정기호 내리투표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어느 당이든 간에 기호 1번을 배정받을 경우 이번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고, 향후 정국 주도권 문제도 탄력을 받게 될 것이 분명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