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지난 16일 발생한 대전 한전원자력연료 폭발사고는 특히 지역민들에게는 적지 않은 충격이었다. 무엇보다도 이번 폭발 발생지점이 경수로 및 중수로용 원자력 연료를 생산하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자칫 방사선 유출 등 대형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가슴이 철렁 내려 앉는 기분이다. 더구나 이번 폭발의 발생 원인이 한전원자력연료 측의 안전불감증으로 귀결이 나고 있기에 지역민들로선 더욱 불안하기만 하다.

이번 폭발의 직접적인 원인은 원자력연료 부품동에 있는 레이저 용접실에서 집진(먼지·가스를 모으는 시설) 설비를 증설하던 하청업체의 용접 실수 탓이었다. 최첨단·초정밀 과학기술의 현장이라 할 원자력연료 건물에서 용접 실수 폭발이라니 어처구니가 없다.

다행히 사고 현장이 원자력 연료인 우라늄 등 방사성 물질과는 관련이 없는 시설이어서 방사성 물질 누출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안전점검 소홀이 그 원인이었다는 점에서 엄중한 자성이 있어야 한다.

대전은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방사선폐기물을 갖고 있어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이처럼 원자력 방사선 폐기물이 많은 것은 원자로 및 각종 핵시설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전 유성의 주요 원자력 시설 반경 2㎞ 이내에는 13개의 초·중·고등학교와 4만 명에 달하는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원자력연료 사고처럼 원자력을 다루는 시설에서 잇따라 사고가 나면서 시민들은 허술한 원자력 관리에 우려를 나타냈고, 시의회도 ‘대전 원자력 안전대책 촉구 건의안’을 채택한바 있다.

원자력 안전 문제는 대전시의 해묵은 최대 현안이다.

원자력의 성공 운용을 위한 조건 중 가장 중요한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은 대전지역의 원자력 시설과 기관들은 운용의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문제가 발생하면 매뉴얼에 따라 조치한 뒤 전문가의 폭넓은 의견을 들어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 이번 사고에서 보듯 원자력 관리인력의 근무기강은 안전의 기본이다. 관리 책임을 엄중하게 물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