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6.13 지방선거가 불과 13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등 굵직굵직한 외교·안보 이슈에 묻혀 자칫 투표율이 저조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지방선거는 지방자치법에 따라 주민들이 해당 자치단체의 장(長) 과 지방의회 의원을 뽑는 선거를 말한다.

1952년 시·읍·면의회, 도의회 의원 선거가 처음 치러졌고 2회 지방선거는 1956년, 3회 지방선거는 1960년 실시됐다.

그러나 이듬해 5·16군사 정변으로 해산되면서 지방자치는 문을 닫았다.

그러다 1988년 시·도지사와 시·군·구가 자치단체로 규정되면서 1991년 기초자치단체인 구·시·군의회 의원 선거를 실시하면서 30년 만에 지방선거가 부활했다.

1995년 6월 기초의원 및 단체장과 광역의원 및 단체장 등 4대 선거를 동시 실시하면서 진정한 의미의 지방자치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때부터 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2회 동시지방선거가 치러졌고 올해 7회까지 오게 됐다.

지방선거는 이러한 파란만장한 굴곡의 역사 속에 탄생한 선거이며, 지방자치를 구현하는 주춧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지방선거의 투표율은 지역민들이 자신의 지역에 대한 관심의 척도가 될 수 있다.

올바른 지도자를 선출하는 것이야말로 지역 발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투표율이 저조하게 되면 그만큼 지방자치 시대를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번 지방선거 투표율이 낮을 것으로 각계에서 전망하는 근거는 하나다.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 지역인 한반도에서 양국 정상이 두차례나 판문점에서 만났고 서로를 적대시하고 있는 북한과 미국의 정상이 곧 회담을 갖기로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언론은 남북의 관계 개선으로 북한의 핵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고 통일로 가게 될 수 있을지, 이어 전쟁 위기 상황까지 몰린 북한과 미국이 화해와 협력의 새 역사를 쓸 지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 국민들도 북한의 핵 폐기와 진전된 남북 관계, 결국 통일로 연결되는 역사적 상황에 주시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지방선거에서 어떤 후보를 선출해야만 지역의 발전을 앞당길 수 있느냐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유권자들의 관심도가 추락하고, 선거는 여당에 유리한 국면이 형성되면서 이번 지방선거가 최악의 투표율을 기록하지는 않을지 심히 걱정된다.

선거관리위원회가 연일 투표율을 높이려 각종 행사를 벌이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투표율을 올리기에 부족함이 많다.

유권자들은 지역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어떤 후보가 적합한지 따져보고 반드시 투표에 임하길 바란다. 그래야만 어렵사리 실현된 지방자치가 올바른 모습으로 정착해 풀뿌리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