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6.13 지방선거 공식 선거전이 개막됐다. 유권자들이 지방의 살림살이를 꾸려나갈 일꾼을 뽑는 게 지방선거다. 투표는 공익적 가치도 있지만, 이처럼 실생활과 가장 밀접한, 주요한 선택을 하는 정치행위다.

지방선거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은 다음달 12일까지 13일간 열띤 경쟁을 펼치게 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충청권은 대전과 세종, 충남·북에서 광역단체장 4명과 교육감 4명, 기초단체장 31명, 광역의원 114명, 기초의원 425명 등 모두 578명의 지역 일꾼이 선출된다. 여기에 국회의원 재보선도 ‘미니 총선’ 수준으로 천안 병 등 3곳에서 열린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5월 출범한 후 처음 진행되는 전국 단위 선거다. 문재인 정부의 지난 1년 국정운영 성과를 평가받는 첫 심판대라고 할 수 있다. 충청권의 공식 선거전은 여당인 민주당의 우위 판세 속에 시작됐다. 민주당이 대전과 세종, 충남·북에서 압승을 거둘 것이란 전망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 국정지지율과 여당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데다 남북정상회담에서 시작된 한반도 평화 무드가 지방선거를 비롯해 모든 이슈를 집어삼키고 있기 때문이다.

후보자들은 공천을 받거나 공식 선거운동에 앞서 유권자의 호감을 사기 위해 치열한 각축을 벌였지만 남북미 관계와 북핵 등 대형 이슈에 쏠린 국민의 관심을 선거판으로 돌리지 못했다. 31일 시작된 공식 선거운동도 이런 분위기의 압력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미·북 정상회담 등 외교·안보가 모든 이슈를 삼켜버리면서 역대 최악의 ‘깜깜이’ 선거가 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과열된 선거도 문제지만 이처럼 너무나 조용한 선거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에 국민이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유권자의 이러한 무관심은 자질이 부족한 후보, 부도덕한 후보, 지역의 발전이 아니라 개인적 영달에만 관심이 있는 후보가 당선되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 그 직접적인 피해자는 바로 국민이다.

미.북 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 무드가 선거 핵심 화두라 해도, 지역 이슈가 뒷전으로 밀려서는 제대로 된 지방선거라 말하기 어렵다. 외적 변수가 없을 순 없겠지만, 이번처럼 심해서는 지방선거 본연의 의미와 기능이 퇴색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