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관사(官舍)의 사전적 의미는 ‘관청에서 관리에게 빌려 주어 살도록 지은 집’이다. 대통령이 지방 수령을 임명하던 시절, 관사를 내주는 건 당연하게 여겨졌다. 하지만 민선 시대가 되면서 구시대 유물 소리를 듣게 됐다.

민선 7기 충남도정 출범을 앞두고 충남지사를 위해 마련된 관사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전임 지사의 성 추문을 계기로 관치시대의 산물인 관사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양승조 충남지사 당선인이 사용 여부를 고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 당선인은 최근 기자회견을 통해 '공관은 사적인 공간이라기보다는 도지사의 업무 연장 공간으로 봐야 하는 측면도 있다'며 '도민과 언론인 등의 뜻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선거로 뽑힌 지역 일꾼에게 왜 관사가 필요하냐는 목소리와 함께 전임 지사의 성 추문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러 관사 논란이 민심을 악화시켰다. 그러나 아직 존폐 논쟁은 끝나지 않았다. 집 없는 도지사를 위해서가 아니다. 미묘한 관사의 경제학이 관사 문화의 숨줄을 여전히 질기게 이어주고 있다.

충남 공직사회 내에서도 도지사 관사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관선시대 유물’인 관사가 필요할까란 물음에 단체장 단순 숙소로 보느냐, 업무 연장 공간으로 보느냐다. 다시 말해, 관사가 ‘사저’와 ‘공관’의 논쟁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이 전임 지사의 불미스런 퇴진으로 관사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으면서 많은 도민들은 지나치게 명분과 여론을 의식하는 양 당선인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볼 수도 있다.

좋지 않은 사연의 중심에 있던 관사이기에 양 당선인이 입주한다 해도 전임자의 찜찜하고 이미지가 남아있어 마음이 불편하다면 시대 변화에 맞게 이제 관사 제도를 바꾸면 된다. 관사를 개방하거나 매각하는 것이 정답이라 할 순 없지만,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관사 활용방법을 모색하는 게 순리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