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이도근 기자) 낮에는 ‘불볕더위’, 밤에는 ‘열대야’….

하루 종일 폭염으로 시작해 폭염으로 끝난다. 연일 35도가 넘는 폭염이 계속되며 더위에 신음하는 사람들의 아우성이 끊이지 않는다.

폭염에 감자탕, 짬뽕 같은 뜨끈한 국물 음식도 찬밥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전통시장에도 사람들의 발길이 끊겼다. 거리에선 땀을 식히기 위해 부채를 부치거나 휴대용 미니선풍기를 들고 다니지만, 맹렬한 폭염에는 역부족이다.

폭염에 따른 피해도 심각한 수준이다. 질병관리본부 집계를 보면 지난 21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1043명.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556명이 지난 15~21일 집중됐다. 이 기간 온열질환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만 7명이다.

재산피해는 말할 것도 없다. 30일까지 도내에서 닭과 오리, 돼지 등 23만여 마리의 가축이 무더위를 견디지 못하고 죽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6만7800여마리)에 비해 3배가 넘는 수치다.

농작물 피해도 잇따라 폭염에 강수량이 줄면서 도내에서 9.5㏊의 농경지 피해가 발생했다.

선풍기와 에어컨 없이는 생활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시민들이 가정에서 선뜻 에어컨 버튼을 누르기 어렵다. 전기사용량에 따라 전기 요금 단가가 올라가는 ‘누진요금제’로 ‘전기료폭탄’을 걱정하기 때문이다.

국내 전력소비의 절반 이상(55%)을 차지하는 산업용 전력보다 13%의 비중인 가정용 전력이 더 비싼 전기요금체계의 불합리성에도 정부는 누진세 재검토가 힘들다는 입장이다.

전기사용량 조절을 위해 누진세가 필요하다는 취지에는 누구나 공감하겠지만, 그 부담이 서민들에게 집중된다면 다시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 살인적인 더위에 전기료가 아까워 에어컨을 마음 놓고 켜지 못하게 하는 정책은 누가 봐도 잘못됐다.

정부는 지난 22일 폭염을 ‘자연재난’에 포함시키고 국가차원의 대처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폭염이 ‘재난’이라면 그에 맞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