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고용참사라는 말이 화두다. 아무리 둘러치고 메쳐 봐도 고용에 관한 지표는 높게 봐줄수가 없다. 통계청 자료가 그걸 반증한다.

7월기준으로 취업자 수는 작년보다 고작 5000명 늘었다. 금년 지난 2월 이후 1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유는 여러 가지다. 주력인 자동차와 철강 조선 등의 부진과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격감이 부른 자영업 구조조정 등이 뒤섞여 고용을 끌어내리는 것으로 보인다. 도소매업은 3만8000명, 숙박음식점업은 4만2000명이 각각 줄었다.

거기다가 우리 뒤를 바짝 쫓는 중국에 각 부문에서 밀리면서 한계에 봉착한 데 따른 영향도 크다.

하지만 진짜 걱정은 앞으로 고용이 더욱 나빠질 수 있다는데 있다.

중국경제가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 데다 구조적인 문제가 우선 큰 걱정이다. 중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으로서는 그럴 수밖에 없다.

터키를 비롯한 신흥국들의 위기도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한국에 타격을 줄 수 있다.

고용이 악화하면 저소득층이 가장 큰 고통을 겪는다. 소득의 양극화 현상도 심해진다.

여기서 잠깐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하나 있다.

모 자료에 의하면 국내 500대 기업에 포함된 외국계 대기업 51곳의 지난해 매출은 9.4%였다. 그런데 고용은 겨우 1.9% 증가했다고 한다. 특히 인터넷 공룡인 구글과 애플 등 글로벌 기업들은 국내에서 연간 2조~3조원씩 벌어들이지만 고용인력은 300~500명정도라 한다. 이들 거대 외국기업들의 고용확대에 대한 정부의 노력과 관심도 중요하다.

고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진흥 마스터 플랜 같은 방식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전체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제조업을 비롯한 산업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가 취임후 지금까지 적폐청산과 공정성 실현, 반칙없는 사회 구현을 위해 달려왔다면 이제는 모든 역량을 고용창출에 쏟아야 할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