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단조성은 미래 먹거리 창출 못해

(동양일보 임재업 기자) 4차 산업혁명이 새로운 경제 페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충북도가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 유치 전략에만 올인하고 있어 미래의 먹을거리 창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스마트형 공장 지원이나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한 플렛폼 기업의 생태계 조성에는 늑장을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충북도가 마련한 4차 산업 대응 추진현황을 보면 도는 '충북도 4차 산업혁명취진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조례를 제정하면서 오송국가산단조성, 충주당뇨바이오 특화도시 지정, 충북연구개발특구 지정, 첨담형 뿌리산업 특화단지 조성. 자율주행차 안전성 평가 센터 구축, 드론 전용 비행 시험장 기반 구축등 46개의 실행 과제를 설정했다.

4차산업 혁명에서 제일 중요한 일은 데이터 양산이다. 바로 빅데이터 이다. 그러기 위해선 개인정보 보호법을 개정해 미국처럼 마음대로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게 급선무다.

물론 중앙정부나 국회에서 할 일이지만 이 빅데이터를 만들지 않으면 인공지능이나 4차 산업혁명은 물건너 간 것이나 다를바가 없다.

글로벌화된 기업의 생산기지는 저임금 국가로 진출하고 브랜드로 경쟁하는게 세계적 추세임을 감안하면 빅데이터 확충은 그만큼 중요하고 절실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인구 절벽 시대를 맞아 도시권 중소기업도 근로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데다 군지역 산단 입주 기업들은 근로자 확보를 못해 60~70% 가동에 그치는 실정이다. 이는 3D업종 근무를 기피하는데다 농촌지역의 정주 여건이 도시 근로자들이 요구하는 수준에 뒤떨어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농촌 지역에 들어선 중소·중견기업들은 세무조사 대상이 돼 출발부터 불안한 상황에서 조업해야 하는 처지로 전락허곤 한다.

이런 구조적 문제를 외면한 채 농촌산업단지 조성으로 균형개발이나 지역경제 활성화, 인구증가 시책을 기대하기가 난망이라는게 기업현장의 하소연이다.

충북도와 충주시가 추진하는 청주 오송과 충주 대소원국가산단이 시행 주체나 시공사만 다를 뿐 입주 기업들에게는 아무런 차별이 없다.

더욱이 외국인 근로자가 100만 시대를 돌입한데다 하이테크 기업들의 로봇이나 오토매틱 스마트화는 지역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게 정설이다.

특히 '수소 클러스트 구축'이나 스마트형 공장 보급 확산 정책도 타 시·도에 비해 한발 늦은 행정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경제계 인사들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형 확산 정책도 보여주기 일 뿐 기업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 빅데이터 수집의 제도적 걸림돌을 제거하고, 산토끼를 불러 들이는 정책보다 집토끼가 잘 살수 있는 마인드 환경 조성이 더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임재업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