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투표하고 싶어도 투표장에 가는 것 자체가 어렵다. 도와주는 사람도 없고, 어떻게 투표를 해야 하는지 정보도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다. 영화도 못보고, 연극 관람도 어렵다.

며칠전 발표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인 이동권 관련 실태조사는 적잖은 미안함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전해준다.

내용을 요약해 단순하게 본다면 장애인 절반 정도가 집 밖 활동에 불편을 느꼈다는 점이다.

장애인 20명 중 1명은 최근 한 달간 한 번도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만 지냈다. 외출하려고 해도 몸이 불편해서 못 간 사람이 자그마치 72.7%, 외출 도우미가 없어서 못간 사람도 12.0%나 다.

장애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의 결과이니 중증 장애인만 놓고 본다면 더 힘들었을 것이다.외출이 어려우니 다른 활동은 오죽했을까.

최근 1년간 영화관람을 했다는 장애인은 4명중 1명 뿐이었다. 지난 19대 대통령 선거때 발달장애인과 정신장애인의 투표 참여율도 각각 60.9%, 66.1%로, 전국 투표율 77.2%보다 낮았다.

장애인 복지는 시설을 늘리고 수당을 더 주는 것으로 되는게 아니다. 진정한 장애인 인권보호와 복지는 이들이 집이나 시설에만 머물지 않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제일 필요한게 이동이다. 필수 시설인 음식점, 약국, 편의점 등 소규모 공중이용시설까지 경사로 등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가 의무화돼야 하고 특히 대중교통에서 장애인들의 편의를 늘려야 한다.

장애인 인권은 복지국가의 척도다. 참정권은 물론 문화향유, 이동, 여가활동 등에서 불편을 줄여야 한다.

그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동등하게 참여하는데 아무런 제약을 느끼지 않는게 진정한 장애인 복지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