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량 감소가 8개월째 계속이라 한다. 올해 1∼9월에는 작년 같은기간에 비해 4.3%나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009년 같은 기간에 8.8% 줄어든 이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고 한다. 대기업은 같은 기간 3년 만에 감소로 돌아섰지만 낙폭은 0.4%에 불과했다. 산업구조 지표상 경영환경이 나빠지면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고충과 위기가 훨씬 크다는 반증이다.

충북도도 예외는 아니다. 도 관내에는 현재 수출기업만 1만2000여여곳이나 된다. 이들 업체가 공통적으로 안고있는 고충은 구인난, 고임금에 따른 채산성 악화, 판매부진으로 인한 자금부족 등이다.

언제나 상존하는 중소기업들의 공통적인 고충과 애로사항이지만 최근 대기업들의 장기불황과 글로벌 경쟁력 약화의 한파 때문에 연쇄 반응 파장도 크다.

특히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기업구조 특성상 현재 진행되고 있는 초강대국 미·중의 무역 갈등과 미국의 금리 인상,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 등이 가중돼 수출 여건이 나빠지면서 이같은 어려움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이달 말에 금리가 오를 가능성은 중소기업들에게 더 큰 걱정거리를 안겨주고 있다.

금리인상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중소기업들은 벌써 초긴장 상태다. 매출은 오르지 않는데다 인건비마저 비싼데 금리마저 오를 경우 어떤 고충을 겪을지 뻔하기 때문이다.

경쟁력은 높지 않지만 낮은 금리 덕분에 구조조정이 지연되며 버텨온 기업들을 일컬어 ‘한계기업’이라 한다. 경영 여건이 나아지면 회생 가능성도 있는 기업들이다.

산업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제조업체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9.3%다. 하지만 중소 제조업 부진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될 경우 이런 기업들은 자칫 줄도산을 불러 올수 있다.

한계기업의 무더기 퇴출시 대량의 실업자 발생과 급격한 경기한파는 소비위축으로 직결돼 우리경제에 매우 큰 타격으로 다가올 것이다.

정부는 예측 가능한 모든 가능성을 상정해 중소기업의 붕괴를 막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경영한계에 부닥쳐 장기 적자에 시달리는 기업에는 적절한 퇴로를 열어주고, 경쟁력은 충분한데 자금난으로 일시적 어려움을 겪는 업체들에는 제대로 된 돌파구를 찾아줘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