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시·도 단체장 7일 대전서 업무협약
부정시각·다른 시도 경쟁 등 ‘산 넘어 산’

(동양일보 지영수 기자) 충청권 4개 시·도가 ‘2030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에 나서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6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충남도와 대전·세종시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7일 오전 11시 대전시청에서 ‘2030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한다.

이날 4개 시·도는 협약을 통해 공동 협력 사항을 약속할 예정이다.

4개 시·도 광역단체장들은 그동안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한 4개 시·도 공동TF구성, 계획실현을 위한 구체적 용역 수행 등에 대해 큰 틀에서의 이행 내용을 협의해 왔다.

앞서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 2017년 대전시 단독의 아시안게임 유치를 구상하다 포기한 바 있다.

이번에 시작된 아시안게임 유치구상의 진원은 충북이다. 충북도가 지난해 11월 충청권행정협의회에서 2025년 유니버시아드 충청권 공동유치를 제안해 4개 시·도가 검토에 들어갔으나 대전과 충남이 부정적 반응을 보이면서 무산됐다.

다른 국제대회에 비해 유니버시아드대회의 인지도가 떨어지는데다 2025년 개최까지 시일이 촉박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2030년 아시안게임 대회유치를 대하는 4개 시도의 반응은 보다 적극적이다.

빅이벤트인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한 재정적 부담을 나누어 질수 있는데다, 각 지역에 필요한 체육 인프라를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확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의기가 투합됐고 정부여당의 지원을 끌어내는데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작용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 대형 국제대회를 치러본 적이 없어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정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명분도 생겼다.

그동안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니버시아드대회 등 대형 국제스포츠대회는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등 대도시 중심으로 열렸다.

국내 아시안게임 개최경험은 1986년 서울을 시작으로 2002년 부산, 2014년 인천의 사례가 있다. “12년, 16년 주기로 대회를 유치한 만큼, 2030년 충청권 공동개최가 전혀 설득력 없는 것은 아니다”라는 반응도 흘러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시안게임 유치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훨씬 많다.

과거와 달리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등 빅이벤트를 바라보는 시선이 마냥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실제 이미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의 경우 경기장 건립을 위해 1조원이 넘는 지방채를 발행한 뒤 경기장 유지를 위해 연간 100억원이 넘는 세금을 쏟아 붓고 있어 국제대회가 지방재정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다.

4개 시도가 공동유치에 나설 경우 서로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충북도가 제안한 유니버시아드 공동유치가 대전·충남 반대로 무산된바 있다.

대구·경북이 지난해 초부터 유치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원희룡 제주지사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2030 제주 아시안게임’을 공약으로 내걸었다는 점도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아시안게임 남북 공동개최를 추진하고 있는 것도 새로운 변수가 될 수 있다. 지영수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