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2030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합의한 후 실현 가능성과 산적한 과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2030 아시안게임은 충청권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좋은 기회로 판단, 지난 7일 560만 충청인의 염원과 역량을 하나로 모아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뜻을 모았다.

2030 아시안게임은 정부가 추진하는 ‘2032 서울-평양 올림픽’의 프레대회 성격으로 2032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홍보의 장이자 충청권의 스포츠 인프라 확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개 시·도는 남북 공동입장, 남북단일팀 등으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을 통해 무르익어온 ‘스포츠를 통한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기여하는 대회로 치른다는 구상이다.

2014년 유치했던 인천 사례 등을 감안할 때 재정 부담과 사후 활용방안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2000석 규모로 4700억원이 들어간 주경기장을 비롯해 경기장을 새로 짓는데 1조7000억원이 투입됐다.

국비 75%가 지원된 평창올림픽과 달리 30%만 국비가 지원되다보니 아시안게임이 끝난 뒤에도 1조원이 넘는 재정적자가 인천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영화관과 웨딩사업 등 민간 업체에 경기장 임대를 했지만 유지비용에도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

충청권 4개 시·도가 아시안게임을 공동 유치할 경우 국비를 제외해도 최소 1조2500억원 이상이 투입돼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도 당 3000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것으로 10년 동안 매년 300억원이 들어가는 규모다.

2월부터 충청권 유치준비 실무 TF를 구성하고 3월에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하는 한편 6~9월 범충청권유치위원회를 구성해 올해 안에 국내 후보도시로 확정되도록 모든 역량을 기울을 계획이다.

충청권은 행정수도와 국토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그에 걸 맞는 국제행사는 ‘1993년 대전엑스포’를 제외하곤 전무한 상태다.

세계 규모의 종합스포츠대회도 서울올림픽(1988년), 평창동계올림픽(2018년)을 비롯해 부산(2002년)·인천(2014년) 아시안게임, 대구(2003년)·광주(2015년) 유니버시아드 등을 개최했지만 충청권만 유일함 불모지로 남았다.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 가능성은 아직 불투명하다. 충청권 4개 시·도는 비용분담을 전제로 한 ‘저비용 고효율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 중이다.

충청권 아시안게임 공동유치가 자칫 선언적 의미에 그칠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준비가 시급하다. 아시안게임 유치가 지역에 ‘골칫거리’기 되지 않도록 준비해야 하는 것은 물론 대회가 끝난 후 신축한 경기시설 등의 활용방안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