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경보발령이 내려진 4일 오후 2시. 공주시 정안면 지역 농촌의 비닐하우스 단지가 뽀얀 미세먼지에 포위돼 있다. 비닐 표면을 휴지로 문지르자 확연한 초미세먼지가 붉게 드러난다.

(동양일보 유환권 기자) 공주시 미세먼지 대책에 대한 농민들의 불만이 크다.

시가 최근 종합 관리방안을 내놨지만 가장 많은 위험에 노출돼 있는 농촌지역 보호 방안이 빠진채 도시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공주시는 총 327억원을 들여 2021년까지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35㎍/㎥, 초미세먼지 15㎍/㎥를 목표로 한 5개 분야 27개사업 추진계획을 지난 2월 13일 발표했다.

최근 1~3월 기간중 공주를 포괄하는 대전 세종지역 초미세먼지 경보가 수차례 발효된 사례로 볼 때 시의 이같은 조치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공주시는 지난해 22㎍/㎥에 달하는 초미세먼지와 34㎍/㎥의 미세먼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124억 3300만원을 투입하겠다는 교통부문 방안과 복지시설·어린이집·학교 등 취약계층에 이르는 관리대책에 농촌지원 방안이 없자 농민들은 ‘황당하다’며 반발한다.

우성면의 농민 A씨는 “도시에는 공기청정기를 구입해 주면서, 들일하는 농촌은 나몰라라 하는게 말이 되는가”라며 “도시인들은 아예 밖으로 안나가면 되지만, 농삿일을 안할수 없는 농민들은 그렇지도 못하기 때문에 현재의 방안은 ‘농민소외’ 정책”이라고 서운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비닐하우스 시설재배 농사를 짓는다는 B씨도 “하우스 표면을 덮은 먼지가 일조량을 감소시켜 작물의 생육방해와 품질저하가 심각하다”며 “비닐 먼지 제거비용이나 수확량 감소에 따른 손실보전 방안 등 손에 잡히는 농촌 대책이 나와야 할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령화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3배나 높은 농촌인구의 특성과, 농작업 대부분이 야외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농민들의 미세먼지 피해는 더욱 치명적이다

따라서 유아 및 65세 이상 노약자 등에 연 3개씩의 마스크를 지급하겠다는 공주시 방안도 농민들에게는 연령층에 관계없이 모두 제공하는 등 도시와는 접근방식을 달리하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미세먼지는 마스크조차 사용할수 없는 가축들에게도 호흡기질환 등을 유발시키면서 피할수 없는 피해를 입힌다.

지난 2016년부터 알밤한우를 전략적으로 육성해 온 공주시는 매출 급증과 브랜드 이미지 상승효과를 보는 단계여서 한우보호를 위한 미세먼지 대책도 시급하다는게 축산농가들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공주시 관계자는 “정부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만들어 지난달 15일부터 시행하고 있지만 이 대책에는 농민들을 위한 별도의 방안이 따로 명시돼 있지 않다”면서 “공주시 자체적으로 조사와 검토를 거쳐 필요할 경우 적절한 농촌 보호대책을 마련해 볼 것”이라고 밝혔다. 공주 유환권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