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방식 고집 30년…5월 전통 장작가마에 불 지펴

방문객에게 차를 대접하기 위해 자신이 만든 도자기에 차를 따르고 있는 도예가 이숙인씨.
이숙인 도예가가 방문객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동양일보 이종억 기자) 5월이면 옥천에서 30년 동안 전통 방식을 고집하며 도자기를 굽고 있는 여류도예가가 가마에 불을 지피는 모습을 볼 수 있을 듯하다.

옥천군 군북면 소정리 산자락에 자리 잡은 ‘옥천요(窯)’에는 요즘 장작 패는 소리가 가득하다. 도자기를 구워 낼 소나무 땔감을 마련하는 담월(潭月) 이숙인(71) 도예가의 아들 최석호씨가 내는 소리다. 그 옆 작업장에는 이 씨가 반죽된 흙을 물레에 올려놓고 성형작업을 하고 있다.

이 씨는 경상북도무형문화재 도천 천한봉 선생의 맏제자다. 20대 후반 우연히 천 선생의 찻사발 하나를 선물로 받고 곧 바로 도예가의 길로 들어섰다. 이 씨가 처음 도예가로 자리 잡은 곳은 대전 유성구 원내동이다. 그곳에서 10년 정도 도자기를 빚다 이곳 옥천으로 터를 옮겨 옛 방식 그대로 도자기를 굽고 있다.

재료는 흙 좋기로 소문난 경남 산청과 충남 태안 등지에서 직접 공수해 온다. 잘게 빻은 흙을 물에 넣고 저어주면 아래로 가라앉는 것이 진흙이고 그 위에 떠 있는 흙탕물이 ‘톳물’이다. 이 ‘톳물’을 수없이 반복해서 체로 받쳐 내면 알갱이가 고르고 철분이 들어 있지 않은 고운 입자가 모인다. 이것이 이 씨가 만드는 도자기의 원료가 된다.

반죽된 흙을 물레에 올려놓고 도자기를 빚는 것부터 초벌구이, 문양 넣기, 유약 바르기, 재벌구이에 이르기까지 전통방식을 고수한다.

그는 무엇보다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해 자기를 굽는 일에 자부심을 느낀다.

이 씨는 “화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스나 전기 가마와 달리 장작 가마는 온도, 바람 등 외부 조건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지각색의 도자기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이런 방식의 전통 가마는 인근 보은, 영동, 대전을 둘러 봐도 찾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씨는 이제 아들과 함께 도자기의 실용화에 애쓰고 있다. 감상용으로 전시장 속에 갇혀 있는 예술작품에서 벗어나 차, 음식 등을 담아 손님을 맞이하는 그릇으로 쓰이는 게 도자기의 역할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오는 5월에는 올해 두 번째로 장작 가마에 불을 붙일 예정이다. 한 번 불을 붙이면 2000점 정도의 도자기가 탄생한다.

이 씨는 “도자기를 직접 빚고 가마로 굽는 체험은 할 수 없지만 옥천요 방문은 누구든 언제든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 씨는 지난 2002년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스승인 천한봉 선생과 사제 간 전시회를 연데 이어 지난해 대전 고트빈갤러리 모자 전시회까지 19차례의 작품 전시회를 가졌다. 2015년에는 경기도 중학교 2학년 미술교과서에 그의 이름과 작품 ‘연잎 5인 다기’가 실리기도 했다. 옥천 이종억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