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최재기 기자) 4월11일은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독립유공자 1등급 서훈(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은 독립운동가는 총 30명이다. 이 중 27명에 대한 서훈은 1976년 이전에 이뤄졌다.

친일 청산이 완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념 논쟁이 한창일 때 서훈이 추서되다보니 일부 독립운동가는 온전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임시정부 수립을 주도하고, 임시의정원 초대의장과 주석을 지낸 석오 이동녕 선생은 1962년 2등급(대통령장)에 추서됐다.

가산을 팔아 간도에 신흥무관학교를 세운 우당 이회영 선생과 대한광복회를 결성하고 총사령이었던 고헌 박상진 의사도 3등급을 받았다. 가산을 정리해 독립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령 석주 이상령 역시 3등급이다.

반면, 이승만 전 대통령의 미국 시절 비서였던 ‘임병직’은 별다른 독립운동 전력이 없는데다 1등급에 추서됐다. 누가 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서훈 사례들이다.

유관순 열사의 고향인 천안은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여 지난 2월 3등급인 유 열사의 서훈 등급을 1등급으로 상향시켰다. 이어 천안출신의 석오 선생 등급 상향을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고헌의 고향인 울산에서도 서훈 상향을 위한 서명운동을 진행 중이다.

나라를 되찾으려 했다는 이유로 일제의 법에 따라 처벌을 받았던 독립운동가들에게 독립유공 서훈은 명예를 회복할 수 있는 재심이나 마찬가지다.

이제라도 시대적 재심을 통해 독립운동가들과 그 후손들을 제대로 예우해야 한다.

임정 100주년인 올해를 엉망진창인 서훈체계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바로잡는 원년으로 삼아야 한다. 천안 최재기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