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연관·일자리창출 효과도 기대…정부 정책적 지원이 필수

(동양일보 임재업 기자) 문재인 정부가 '미래 육성 3대 산업' 가운데 하나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를 낙점한 것은 신성장동력과 동반성장, 일자리 창출이라는 '세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한 정책적 선택으로 여겨진다.

특히 업계에서도 메모리에 편중된 반도체 산업의 영역 확장과 전후방 산업 연관 효과 극대화를 노리기 위해서는 비메모리 부문 육성이 필수 과제라는 지적이 나오던 터여서 민관 공조를 통한 시너지도 기대된다.

그러나 인재 육성, 규제 개혁, 예산 지원 등에서 경쟁국들에 밀린 게 국내 비메모리 산업 성장의 한계로 지적된 만큼 정부의 전략적 뒷받침이 담보돼야 한다는 게 업계의 일관된 목소리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메모리 부문의 한국 기업 점유율은 약 60%에 달하고 있으나 시스템반도체 등 비메모리 부문에서는 3~4% 수준에 그치면서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지난 2012~2017년에 비메모리 부문 시장 점유율이 5.0%에서 3.4%로 오히려 떨어지면서 중국(2.2%→4.0%)에도 역전을 허용하는 수모를 당했다.

거꾸로 말하면 그만큼 성장의 여지가 아직 많은 셈으로, 실제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최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을 중심으로 비메모리 육성 '초격차 전략'을 잇따라 내놨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7년 조직 개편을 통해 시스템LSI 사업부에서 파운드리팀을 떼어내 '파운드리 사업부'를 신설한 데 이어 최근에는 파운드리 고객지원 프로그램인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도 가동했다.

SK하이닉스는 2017년 파운드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아예 관련 조직을 분리해 자회사(SK하이닉스시스템IC)를 설립했다.

업계 관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는 시장 규모가 메모리의 2배에 달하고, 경제적 부가가치가 크기 때문에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분야"라면서 "오는 2030년에는 비메모리 시장에서도 글로벌 1위를 차지하겠다는 목표를 위해서는 정부와 업체의 치밀한 공조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연합뉴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