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24건 발생…입산자 실화 ‘최다’
지역특성·상황 맞는 산불방지·지원조례 시급

8일 보은군 보은읍 장속리 야산의 산불 현장에서 공무원과 소방대원들이 산불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보은소방서>
8일 보은군 보은읍 장속리 야산의 산불 현장에서 공무원과 소방대원들이 산불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보은소방서>
8일 보은군 보은읍 장속리 야산의 산불 현장에서 공무원과 소방대원들이 산불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보은소방서>
8일 보은군 보은읍 장속리 야산의 산불 현장에서 공무원과 소방대원들이 산불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보은소방서>
8일 보은군 보은읍 장속리 야산의 산불 현장에서 공무원과 소방대원들이 산불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보은소방서>
보은군 보은읍 장속리 야산의 산불 현장 / 보은소방서 자료사진

 

(동양일보 지영수 기자) 최근 국가재난으로 선포된 강원도 산불을 계기로 산림면적 비율이 높은 충북에서도 지역적 특성과 상황에 맞는 산불방지대책 방향·범위 설정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5일 충북연구원 충북재난안전연구센터에 따르면 산불 빈발 시기는 봄·가을이며, 주요 발생 원인은 입산자 실화와 소각행위로 나타났다.

지난해 도내에서 총 33건의 산불이 발생해 산림 1.12ha가 소실되고 1억5600만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올 들어 4월말 현재 24건(3.51ha)의 산불이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0건(0.71ha), 최근 10년 간 같은 기간 평균 18.7건(11.62ha)보다 많다.

최근 10년간(2009년~2018년) 충북에서 평균 27.5건의 발생하고 해마다 14.52ha에 달하는 산림이 소실되고 있다.

산불의 주요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36%로 가장 크다. 이어 논밭두렁 소각(20%), 쓰레기 소각(19%), 담뱃불 실화(5%), 성묘객 실화(5%) 순으로 나타났다.

2003년 이후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한 시·군은 옥천군(59건)이다. 이어 충주(52건)·보은(44건)·제천(44건)·영동(43건)·음성(39건)·진천(38건)·괴산(35건)·청원(33건)·청주(26건)·단양(26건)·증평(7건) 순이다.

시·군·구 단위로 최근 5년 간 소각산불 건수에 가중치를 부여해 소각산불 다발지수를 산정한 결과 충북에서 유일하게 청주시가 올해 소각산불 특별관리 대상지역으로 선정됐다.

충북재난안전연구센터는 산불대응 방안으로 체계적인 산불방지 교육·훈련 확대 및 민간전문가 양성, 지역산불방지협의회 활성화 및 법·제도적 기반 강화 등을 제언했다.

산불이 ‘도대체 지금 어디로 어떻게 번져나가며’, 해당 지역 주민들은 ‘어디로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생산과 공유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강원 속초시의 경우 ‘금일 19:17 토성면 원암리 산불방생, 학사평, 한화콘도, 장천 마을 인근 주민들은 청소년수련관으로 대피바랍니다. 639-2968’ 등 발생위치뿐만 아니라 산불 확산 방향과 대피소 위치까지 트위터로 정확히 알려주고 있다.

‘충청북도 산불방지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도 시급하다.

현재 산불방지 및 지원과 관련된 조례를 갖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대전광역시 등 8개 시·도와 대전 서구·유성구·중구, 충남 서산시 등 18개 기초자치단체 등 26곳이다.

하지만 충북도는 산불과 관련된 조례가 없어 ‘산림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역적 특성에 대한 구체적 내용 범위를 설정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충북재난연구센터는 “산불방지 관례 조례를 제정해 충북도의 지역적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산불방지대책 방향과 범위를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북도는 산불집중 기간에 따라 한시적인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어 체계적인 산불 예방·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충북도를 중심으로 하는 다기관의 협력적 거버넌스 조직을 구성·운영해 상시적 산불관리체계를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영수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