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임재업 기자)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체제 강행 등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나 지자체 행정이 뒷받침되지 않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있다.

20일 충북도에 따르면 정부는 워라벨 환경조성을 위해 최저임금 1만원 추진과 주 52시간 근무체제 확립 로드맵을 제시,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300명 이상 근로자를 고용한 중견이상 기업들은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 근로자까지 마구잡이로 끌어다 채워 가뜩이나 어려운 중소기업 인력난을 부추기고 있다.

충북도의 경우 투자유치과 500억원, 전략산업과 300억원, 에너지과 280억원, 경제기업과 246억원, 일자리정책과 170억원, 국제통상과 100억원 등 모두 1600억원의 예산을 세워 놓고 있다. 이는 충북도 전체 일반회계 예산의 3.7%에 해당된다.

이같이 편성된 예산은 도 산하 지원기관들을 통해 매년 추진했던 사업을 하거나 중소벤처기업부 매칭사업 등에 쓰이고 있다.

최근 4차 산업혁명이 기업 혁신의 아이콘으로 대두되면서 스마트 펙토링, 수출기업 육성, 강소기업, 스타기업, 뿌리기업 발굴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골몰하고 실정이다.

그러나 기업현장에서는 최저임금 인상과 함께 7개월 이후로 다가온 52시간 근무체제 시행에 따른 인력을 확보할 길을 찾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청주시 흥덕구 오창읍의 A사 대표는 "근로자 복지문제 만큼은 앞서간다고 할 만큼 해주고 있었지만 지난해 30여명이 동시에 대기업으로 이직하면서 신규 직원을 뽑으려고 해도 지원자가 없어 고민이다"고 하소연했다.

청주산단의 C사 대표는 "스마트 펙토링이 좋은 줄 알지만 각급 회사마다 공정이 다르기 때문에 장시간 연구를 하고 투자재원까지 확보하려면 그렇게 쉬운게 아니다"며 "단순한 이론보다 컨설팅과 함께 자금지원 문제까지 다양하게 검토하고 유연한 근로 문화 확립등 규제완화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토로했다.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의 B사 임원은 " 연구직들은 프로젝트에 한번 매달리면 밤샘하기 일쑤인데 근무시간 준수를 고집하면 연구를 하지 말라는 것과 같다"며 " 유연한 근무체제를 갖춘 베트남 등 외국으로 회사를 옮길수 밖에 없다 "고 탈한국론까지 내세웠다.

가장 급한것은 52시간 근무체제에 따른 근로자 확보 문제다. 양질의 근로자 확보 교육 예산도 줄어든데다 법률적으로 확보된 특성화 고교생들의 취업 연계 정책도 미흡하다.

중소기업중앙회 충북본부도 충북도 지원을 받아 소상공인 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으나 세금감면과 절세, 그리고 힐링을 주제로 한 '행사를 위한 행사'를 벌이고 있다.

기업체의 한 관계자는 " 자치단체 경제행정은 중앙정부와 기업과의 가교역할을 여하히 잘 하느냐에 달려있다"며 " 투자유치나 국가산단 조성도 좋지만 집토끼인 도내 기업들의 근로자 확보난을 해소하는 맞춤행정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임재업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