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근 취재부 차장

(동양일보 이도근 기자) 최근 조현병 환자에 의한 강력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경북 김천의 흉기난동, 경남 진주의 방화·흉기난동, 창원의 할머니 살인사건 등 전국 각지에서 조현병 환자와 관련된 사건이 끊이지 않는다. 충북에서도 지난해 4월 30대 조현병 환자가 친동생에게 흉기를 휘둘러 숨지게 하는 사건이 있었고, 이달 9일에도 20대 조현병 환자가 정신병원 이송을 거부하며 경찰관 2명과 구급대원 1명을 다치게 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잇따르는 강력사건에 정부는 등록환자에 대한 일제점검과 시도별 거점병원을 통해 지속치료 서비스를 제공, 만성환자의 치료·재활지원,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 응급개입팀 배치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조현병에 대한 국가관리를 강화하겠다는 복안으로 해석된다.

그런데 일선 현장의 대책은 부실하다. 실제 범죄 현장이나 범죄의 전조가 될 수 있는 민원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조현병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단 한 장짜리 매뉴얼이 전부고, 환자 대응 방법 등 교육도 마땅히 없다. 정부 대책에도 현장 공무원 교육은 사실상 전무하다.

현장에서 조현병 환자 여부를 확인해 그들의 생각이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면 불미스러운 일을 조금이라도 막을 수 있다. 특히 몇몇 사건의 경우 참극이 벌어지기 전 전조가 될 수 있는 민원신고 등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자에 대한 이해와 그에 맞는 대응이 있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전 세계적으로 조현병 유병률은 1%, 국민 100명 중 1명이 걸리는 흔한 병이다. 치료만 제때 이뤄진다면 충분히 가능한 질병이라는 게 의료계의 설명이다. 제대로 된 관리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그들을 ‘혐오’나 ‘격리’가 아닌 ‘이해’의 대상으로 보는 대책이나 사회적 시스템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