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압록강 인접 지역인 북한 자강도로 번지면서 한반도 턱밑까지 다가왔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따르면 북한 내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달 23일 중국 랴오닝성 인근 자강도 우시군 북상협동농장에서 신고 됐고 25일 확진이 나왔다.

돼지 99마리 중 77마리가 이 병으로 폐사하고 22마리는 살처분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당국이 이동제한, 문제 지역 예찰, 살처분, 소독 등으로 방역에 주력하고 있지만 전염성이 강해 국내 유입 시 양돈산업에 전례 없는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야생 멧돼지를 매개로 남북 접경지역을 통한 전파 가능성이 우려되는 만큼 남북 방역 협력 등 기민한 대처가 시급해졌다.

아시아에서는 지난해 8월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서 처음 발생한 뒤 급속도로 확산했으며 국경을 넘어 몽골, 베트남, 홍콩 등으로 퍼졌다.

지난 2월 첫 발병이 확인된 베트남의 경우 국토의 3분의 2가량으로 이미 퍼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충북도내에서는 363개 농가가 65만 마리의 돼지를 키우고 있다. 전국 사육두수(1133만 마리)의 5.7%로 작지 않은 규모이다.

ASF 치사율이 최대 100%에 달하지만, 예방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그런 만큼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한 차단 방역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대책인 셈이다.

하지만 현재 야생 멧돼지의 접촉을 막을 수 있는 양돈 농가 울타리 설치 관련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정부의 신속한 국비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충북도도 국비가 지원되는 대로 울타리 설치 지원 사업에 착수하고 수렵 등을 통해 바이러스 매개체인 야생 멧돼지 포획에 나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식량난에 처한 북한도 주요 먹거리에 치명타가 될 심각한 상황으로 규정하고 움직이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자국 내 발병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관련 특집기사를 3꼭지나 게재하며 '경제적 손실' 심각성을 부각할 정도로 비상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공동 방역을 위한 남북 협력이 절실해졌다.

우리 정부는 지난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한에 방역 협력을 수차례 타진했지만 구체적인 반응은 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하루빨리 협력에 응해 구체적인 발병 현황, 멧돼지 이동 경로 공유 등으로 공동 대처하길 촉구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