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12월 환지처분일 6개월 연장 조치

(동양일보 임재업 기자) 충북의 관문인 KTX 오송역세권 개발이 오리무중에 빠질 우려가 제기되고있다.

오송역 명칭 개명을 두고 찬반 양론으로 나뉘어 지역 민심이 분열된 가운데 역세권 개발 문제와 환승센터도 지지부진한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KTX오송역세권은 국책기관인 식약처를 비롯한 6개 국책기관 유치와 함께 충북 바이오헬스산업의 전진기지로 발돋움할 것이란 기대를 한껏 모았다.

오송역세권은 체계적인 개발을 통해 오송역 주변 상권을 형성함과 동시에 정책사업인 오송 1,2 생명과학단지와 연계된 자족적 복합도시 성장 기반을 확충해 오송읍, 구조치원, 청주 강서지역 거점 중심도시로 성장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2011년 12월 청원군수가 오송역세권 도시개발구역 지정 고시로 시작된 이사업은 2013년 12월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해제되면서 민간 사업인 환지개발 방식으로 변경됐다.

환지개발은 오송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이 결성되면서 2014~2018년 12월 환지처분일로 지정 추진했다. 조합에서 당초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자 청주시는 1차 변경일로 2019년 6월환지 처분일로 변경했다.

또 오송역 환승센터도 구상만 하고 있을 뿐 민간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은채 차일피일 시간만 허비하고 있다.

청원군과 청주시가 통합되면서 충북도가 추진했던 오송역세권 사업이 청주시로 이관됐으나 업무 담당자만 정해져 있을 뿐 진척된 사항은 미진한 상황이다.

오송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은 충북개발공사가 민간 공동 사업 시행자를 2차례에 걸쳐 모집했으나 응모자가 없어 결렬되면서 충북도가 포기했었다.

이 곳은 개발 보상을 노린 나무식재 또는 무분별한 주거용 건축행위, 그리고 기형적 지가 상승으로 인해 보상비가 크게 상승한데 따른 사업성이 확보되지 않아 개발 사업자들이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

당시 공시지가 상승률이 전국 5.6%,충북 4.4%인데 청원군 7.3%, 역세권 81.9%이다. 조성원가도 평당 세종시 210만원, 송송 2단지 140만원, 역세권 290만원으로 예상되어 엄두를 내지 못했다.

서울 P사가 시행자로 선정되어 40여억원을 투자하면서 대기업 참여를 물색했으나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당국은 관측하고 있다.

10여년전 보상비 1900억원,조성비 700억원으로 추정했었으나 현재는 토지가가 평당 500만원대를 육박, 사업성 검토 자체가 힘든 상황인 것으로 예상되고있다.

이에대해 지역의 한 인사는 "오송역세권 개발과 오송역 환승센터는 4통8달로 전국을 잇는 교통 요충지로 손색이 없다"면서 " 정부청사와 식약처 등 6개 국책기관 등의 각종 회의나 세미나등 '컨벤션 산업'을 육성시킬 호재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행정당국이 원망스럽다"라고 비난했다.

더욱이 "오송 3 국가산단이 들어서면 이곳 역세권은 도심속 달동네 신세로 전락할 우려도 있다"면서 "토지주와 당국이 솔로몬의 지혜를 발휘했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임재업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