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본논 관리

이삭이 생길 때부터 팰 시기까지는 벼가 각종환경에 아주 예민하고 물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항상 담수된 상태로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이삭 패기 15일전~이삭 팬 후 10일까지는 물을 2~4cm로 깊게 대 수분 장해 및 냉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해서 관리한다.

이삭이 팬 후 30~35일까지는 뿌리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물 걸러대기를 실시한다.

이삭이 패는 시기에 품종의 특성을 가장 잘 구분할 수 있으므로 내년에 종자로 사용할 포장은 잡 이삭이나 피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피가 많이 난 논은 현 단계에서는 약제방제가 어려우므로 이삭 패기 전에 반드시 손으로 뽑아주도록 한다.

▶병해충 방제

7월 중순 이후까지도 잎도열병 발생이 지속될 경우나 출수기 전후로 비가 자주 올 경우 7월 하순부터 이삭이 팰 것으로 예상되는 조생종은 이삭도열병으로 번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삭 패기 전까지 적용약제로 방제한다.

일반유제, 수화제, 액제는 2회 방제하고 약효가 긴 침투이행성 입제나 수화제는 1회 방제한다.

항공방제를 할 경우 주변 작물의 약해 발생에 주의해 인근농가(과수재배단지 등)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잎집무늬마름병은 고온 다습한 환경과 조기이앙, 밀식재배, 비료를 많이 줄 때 발생이 많이 되고 병균에 의해 잎집에서 반점 또는 얼룩무늬 증상이 나타나며 최고 50% 감수된다.

벼가 자라면서 점차 병반이 윗 잎으로 확산되므로 볏대 아래 부위를 잘 살펴본 후 병든 줄기가 20% 이상이면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특히 도열병 방제를 위해 입제농약을 살포해 잎집무늬마름병 방제를 동시에 못한 논은 이삭도열병과 멸구류를 동시에 방제한다.

먹노린재는 최근 전남, 충남, 경남 일부지역에서 발생됐으며 평년보다 1.8배 정도 밀도가 높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에서는 철저한 예찰과 방제가 필요하다.

작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줄기속이나 물속으로 숨어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논물을 빼고 해질 무렵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