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연구원 부설 충북학연구소는 13일 일제 강점기 때인 1923년 발간된 사료인 '충북산업지'를 한글로 편역·발간했다. 사진은 충북산업지 표지.

(동양일보 곽근만 기자) 충북연구원 부설 충북학연구소는 74주년 광복절을 맞아 일제강점기인 1923년에 일본어로 발간된 역사자료 '충북산업지(忠北産業誌)'를 한글로 편역·발간했다.

충북산업지는 당시 호남일보 충북지사장을 맡고 있었던 일본인 천야행무(天野行武)가 급변하는 충북산업경제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구성은 5편으로 이뤄져있으며 1편 환경, 제2편 산업에서는 당시 충북도의 사회구조와 산업발달 등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하고 있다.

3편에서는 충북의 사업과 관련인물로 당시 충북지역 유지들의 활동내용을 담고 있다.

제4편과 제5편은 충북의 저명지역과 명승고적을 소개하고 있다.

이 사료는 발굴이 늦어져 충북향토사나 도지, 시·군지 편찬 때 활용되지 못했는데, 일제의 충북경제 침탈 내용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3편 '사업과 인물' 편에는 고위 공무원, 판·검사, 군인, 의사, 사업가 등 188명의 기록이 나와 있다.

이들 중 한국인은 32명으로 11명이 친일 인명사전에 등재돼 있다.

당시 도내에 거주했던 일본인은 인구 대비 0.8%인 6410명으로 공업의 11.2%, 상업·교통의 7.4%, 공무자유업의 20.5%를 차지했다고 쓰여 있다.

충북학연구소는 "부와 권력이 일본인, 그리고 소수의 친일 한국인에게 집중돼 있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옥천의 흑연광산과 충주의 텅스텐광산 등이 있었는데, 모두 일본인이 경영했다.

충북의 금융계 요직도 일본인이 모두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식산은행, 충주식산은행, 청주실업은행 지점장과 금융조합연합회 이사장은 모두 일본인이었다.

지역별 금융조합의 조합장도 대부분 일본인이었고 조합장을 맡지 않았더라도 이사 등을 자치, 경영에 관여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청주상업회, 충주번영회, 영동번영회 등 상업조합 역시 일본인이 주도하는 형태였다.

충북학연구소 관계자는 "일본인이 상업조합을 주도하면서 충북의 산업 전반에 걸쳐 일본인이 활동하기 유리한 여건을 조성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곽근만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