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정주희 큐레이터,  박세훈 소장, 이병민 교수, 이가진 도예가, 한근석 대표, 장준석 평론가.
(왼쪽부터)정주희 큐레이터, 박세훈 소장, 이병민 교수, 이가진 도예가, 한근석 대표, 장준석 평론가.

 

동양일보 박장미 기자 = 2019청주공예비엔날레가 50일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가운데 지속 가능한 도시문화정책 수립과 그에 따른 공예비엔날레의 역할이 제시됐다.

20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에서 ‘동시대 공예의 가치 확장, 한국공예의 새로운 변환과 전망’을 주제로 한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 2차 학술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이병민 건국대 교수는“ 공예비엔날레가 지역에서 충분한 의미를 갖고 창의도시의 기반이 되기 위해서는 창조적 공동체의 개념화를 탐구해야 한다”며 “다양한 사람, 제도, 과정을 가진 관계적 공간을 구축하는 데에서 발전의 잠재력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한국의 공예 대표 도시인 청주의 상황에 문화적, 정치적 요인과 창조적 공동체 등 3차원을 결합해 ‘유네스코 창의도시 청주’의 가능성을 분석했다. 창의도시와 창조적 공동체가 가진 지속가능성과 진정성, 통합성, 네트워크, 경제적 효과 등 5가지 특성에 따라 청주의 상황을 모델링하고, 청주가 창의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했다.

박세훈 국토연구원 글로벌개발협력센터 소장도 ‘2021 청주 유네스코 창의도시 선정’을 위한 제언을 했다.

박 소장은 ‘도시문화정책의 전환과 창의도시 조성의 과제’ 발제에서 “UN 등 국제사회의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문화도시전략의 개념이 시사하는 바를 공유하고, 이를 한국 도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창의도시 사업의 취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국제사회에 호소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견해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부에서 한근석 광화문 아트포럼 대표는 “대량 생산 시대에 이르러 공예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고, 전통적인 양식과 형식미에서 벗어나 시각 예술이 가진 촉각적 가치를 추구하게 됐다”며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걸맞는 현대 공예의 역할과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준석 미술평론가는 특히 “공예를 단지 장인적인 산물로만 생각하는 적지 않은 공예가들의 단순한 사고는 공예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며 “이런 면에서 올해로 20여 년이 된 청주공예비엔날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영희 홍익대 교수, 이가진 도예가 등도 발제자로 나서 동시대 공예문화의 가치변화와 공예비엔날레의 역할을 모색했다. 박장미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