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홍여선 기자]최근 일본무역 보복으로 NO재팬 운동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가 1845년 서울에 머물면서 선교사들을 위해 제작한 조선전도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1861년 제작된 대동여지도보다 16년 전에 조선전도는 제작이 되었으며 지명을 한국식 발음의 로마자로 표기 서구사회에서 우리나라 지명을 소개한 첫 번째 지도이며 1855년에는 프랑스 지리학회보에도 수록 6개 국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특히 조선전도에는 지도 속에 조선의 산과 강 이름을 대부분 삭제 되었으나 만주지역과 울릉도 독도를 조선 영토로 김대건 신부는 울릉도 동쪽에 독도를 그리고 로마자로 ‘Ousan’이라고 뚜렷이 표기함으로써 19세기 중엽에 이미 독도가 우리의 고유 영토라는 사실을 서구 사회에 알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실제로 조선전도 제작 이후 리델 주교가 1869년 한·중·일 지도를 제작하면서 독도를 조선 영토로 명기하고 1874년 달레 신부도 조선지도에 독도를 조선영토로 표기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 한다.

원본으로 추정되는 조선전도는 1846년 리브와 신부에게 전해졌는데 이중 1부가 중국 상하이 총영사 몽티니의 손을 거쳐 1855년 프랑스 왕립도서관에 기증돼 현재 파리국립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이에 당진시와 천주교 대전교구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협조를 얻어 확인한 결과 당초 한 장의 지도 외에도 두 장의 지도가 더 파리도서관에 소장돼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으며 국내에는 최석우 신부가 1978년 입수한 지도 사본이 현재 한국순교자박물관과 독도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당진 홍여선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