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영 논설위원 / 유원대 교수

백기영 논설위원 / 유원대 교수

[동양일보]광역도시계획이란 광역계획권의 장기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이다. 광역계획권의 공간 구조와 기능 분담, 환경, 광역시설, 교통 및 물류유통, 문화 등 주요 기능연계에 관한 사항을 광역도시계획에서 정하고 있다.

충청권에는 여러 개의 광역계획이 권역이 중첩된 채로 있어 왔다. 또 행복도시 등 3개 광역도시계획은 수립된 지 10년 이상이 흘렀다. 청주권 2001년, 대전권 2005년, 행복도시권 2007년에 광역도시계획이 수립되었고, 공주역세권 계획은 2016년에 수립되었으나, 세종시 발족 등 주변여건 변화에 따라 광역도시계획을 재수립해야 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 세종시, 충북도, 충남도는 행복도시건설청과 함께 지난해 3월, 4개 광역도시계획 공동수립을 합의하고, 금년 4월 “2040 행복도시권 광역도시계획” 수립에 착수한 바 있다. 광역도시계획 공동수립을 통해 4개 권역내 각 도시기능을 조정하고 광역시설을 정비하여 권역의 장기발전과 상생발전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광역권역 범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 적정한 권역의 설정은 광역권이 추구하는 목표와 지향점의 점검으로부터 출발되어야 한다.

첫째, 행복도시 광역권은 수도권 집중해소에 기여하는 균형발전 선도권역이 되어야 한다. 국가균형발전과 지역성장거점으로서 역할을 다해야 하며, 국토 중부권 전체에 공간적, 기능적 재도약의 발판이 되어야 한다. 충청권 핵심도시간 상생발전을 바탕으로 행복도시 광역권은 국토구조 변화를 선도해야 한다.

둘째, 행복도시 광역권은 도시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네트워크 도시가 되어야 한다. 인구감소와 저성장시대에 지역 압축형 도시모델과 지역재생의 패러다임이 실현되어야 한다. 세종, 대전, 청주, 천안아산, 내포 등 도시들이 보다 활발하게 서로 교류하고 활용되는 지역으로 거듭나야 한다. 또한 이들 도시는 농촌지역 및 낙후지역의 성장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성장거점의 역할을 해야 한다.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중추관리기능을 공동으로 적극 유치하고, 인프라의 공동 활용을 강화해 가야 한다.

셋째, 행복도시 광역권은 수도권과 대응하는 경쟁력 및 국제경쟁력을 갖추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지역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광역권 내 혁신역량인 행복도시, 내포신도시, 국가 산단, 대덕연구단지, 스마트시티 등 성장거점이 포괄되어야 하며, 4차 산업혁명시대 국제경쟁력을 선도할 수 있는 청주공항, 평택당진항, 고속철도 등 공항과 항만, 고속교통이 핵심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충청권 광역권역의 지향점과 역할을 감안할 때, 논의되는 행복도시 광역권역은 대전, 세종, 충청남북도 전체가 광역권으로 되어야 한다. 충청권 전체가 되어야만 대도시권으로서의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중복된 4개 광역권을 통합하여 수립한다는 점에서도 네트워크 도시권으로서 충청권 전체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더 나아가 유연한 권역운영 차원에서 사업별 협력권이라는 개념 도입도 검토해 보자. 사업이나 테마에 입각하여 협력적 광역권으로는 기반시설의 공유나 문화관광 등 특별한 협력적 사업 추진을 위해 새만금권, 강원권 일부, 국제항만으로서 평택당진항 등이 포괄될 수 있다.

실제로 교통통신의 급속한 발달은 기존의 거리와 시간의 개념을 바꾸고 있어 확장된 광역권이 문제될 것도 없다. 독자적인 자생력이 확보되어 국제적 경쟁력을 보유하는 광역권역, 주민이 삶의 질을 통합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광역권역, 도시간 협력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실질적으로 가능한 광역권역이어야 한다. 행복도시 광역권역은 충청권 전체로 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바람직하기도 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