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창 2차전지 디클로로메탄 누출…충주·음성 등 잇따라
청주, 환경부 화학사고 대비 우선관리 9위…충북선 4곳

[동양일보 이도근 기자]

최근 충북지역 공장에서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예방대책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2일 오전 10시 16분께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2차 전지 필름 제조공장에서 2급 발암성 물질로 분류된 디클로로메탄이 누출됐다. 이 사고로 근로자 A(35)씨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뇌사상태에 빠졌다. 함께 병원으로 옮겨졌던 근로자 B(27)씨는 의식을 찾아 회복 중이다.

지난달 22일에는 충주시 주덕읍 2차 전지 제조공장에서도 리튬솔트 제조공정에 쓰이는 염산가스 누출사고로 3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다. 지난 3월에도 음성군 금왕읍 농협 목우촌 계육 가공공장에서 암모니아 가스 100㎏이 누출돼 근로자·직원 23명이 두통과 호흡곤란 증세를 호소해 병원치료를 받는 등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A씨의 뇌사를 이끈 디클로로메탄 문제도 심각하다.

디클로로메탄은 뇌와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일으키는 유해물질로 대표적인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환경부가 지난해 발표한 ‘2016년 전국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에 따르면 충북의 발암성 물질 배출량은 1758t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 중 디클로로메탄이 1720t(97.8%)로 사실상 대부분을 차지했다. 도내에선 2009년과 2012년, 2013년 3차례 디클로로메탄 누출사고가 발생, 근로자 3명이 숨졌다.

민주노총 충북지역본부는 9일 고용노동부 청주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국은 책임을 명확히 규명하고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충북에 화학물질 취급공장이 밀집한 만큼 엄격한 규제와 감시가 필요하다”며 ‘중대 재해 발생기업 노동자 역학조사’, ‘디클로로메탄 사용중지 및 안전물질 대체’, ‘화학물질 배출 저감제도 대상기업 명단 공개’ 등을 요구했다.

정부와 지자체도 각종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 등 현실적인 문제로 사고 근절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가 시민사회단체, 관련업체, 화학물질 전문가 등과 적극적인 협력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청주시는 환경부의 ‘화학사고 예방·대비·대응을 위한 지역대비체계 구축 보고서’ 우선관리지역 60곳 중 9위에 선정됐다. 이 순위는 인구수와 화학물질 취급량, 산업단지 생산규모 등에 따른 것으로 위험도와는 다른 의미다. 이어 충주시 41위, 진천군 51위, 음성군 54위 등의 순이었다.

시는 또 지난해 화학사고 지역대비체계 구축사업 선도지역으로 꼽혔다. 이 사업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기업들은 취급량과 물질 내용을 공개하고, 지자체와 지역 시민단체, 화학물질 전문가들이 대응계획을 짜며 함께 사고에 대비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와 관련, 시는 2017년 화학물질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이 직접 취급종류·취급량을 실시간 등록하고, 지자체가 방제약품·장비현황을 제공, 사고발생에 대비하는 ‘화학물질 사업장 관리정보시스템’도 구축했다. 2016년 시작된 이 시스템은 2017년 1차, 올해 2차 업그레이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도근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