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가 24일 회담을 갖는다.

중국 청두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성사된 양자 회담이다.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15개월 만이다.

이번 회담에서 일본의 수출규제와 한인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 등 그동안 읽힌 갈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두 정상은 문 대통령 집권 초반이던 2017년 7월 독일 함부르크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때 만나 '셔틀 외교'를 통한 잦은 만남과 대화를 다짐했지만, 여태껏 정반대의 모습을 보였다. 15개월 새 두 차례에 불과한 회담마저 다자 무대 속 양자인 것을 보면 냉랭한 양국 관계의 현주소를 웅변한다고 볼 수 있다.

모처럼 만의 회담이니만큼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상황이

이번 회담에서 관계 개선을 위한 돌파구를 내야 하는 것은 한일 두 정상의 몫이다.

큰 부담을 갖고 보여주기식 단기성과 내기에 집착하기보다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정상 간 신뢰 회복의 발판을 마련하고 양국 관계 발전의 큰 전환점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으면 싶다.

지난 7월 일본이 '도발'한 수출규제 철회 또는 무력화 이슈가 있다. 한국 대법원의 일제강점기 징용 피해 배상 판결을 빌미로 과거사 문제를 경제전쟁으로 끌고 간 일본의 행태는 종래의 한일 관계 원칙에 비춰볼 때 분명 잘못됐다.

완전 철회를 얻어내거나 그에 상응하는 무용화 조처가 되게끔 하는 당위가 따르는 이유다. 하지만 당장 그러한 구체적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이는 만큼 방향을 잡아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지난달 22일 한국 정부가 조건부 연장 결정을 내린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갈등이 다시 불거질 소지가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징용 피해 배상 문제에 관해 공감대를 넓히고 접점을 찾아가는 것 역시 요구된다.

일본 기업과 양국 국민 성금으로 이를 해결하자는 문희상 입법안(1+1+α)이 유력한 대안처럼 거론되지만 일본 기업에 대한 한국의 입법 강제력 유무, 피해자 동의 여부 논란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므로 일단은 양국의 근본적 현실 인식과 접근 태도부터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양국 간의 관계개선의 전환점을 만드는 계기가 돼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