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근 취재부 차장

이도근 취재부 차장

[동양일보 이도근 기자]기자가 하는 주요 업무 중의 하나는 보도자료나 제보 확인이다. 가끔 주요 자료를 놓칠 만큼 하루에도 수백통의 메일과 문자메시지가 밀려온다. 기관·단체나 업체들은 자신들의 자료가 눈에 띌 수 있도록 다른 보도자료와 차이점을 부각시키려는 경우가 많다.

최근 보도자료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키워드가 ‘코로나19’다. 온 나라의 시선이 코로나19에 집중된 탓이다. 각 기관·단체의 예방 캠페인에서, 행사·경기 연기·취소 등 면면도 다양하다.

이런 와중에 상업적으로 코로나19를 이용하는 ‘코로나 마케팅’이 나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확진자 정보확인’ 등 내용으로 문자메시지를 보내 다른 사이트로 유입시키거나 ‘완벽 차단’ 등 현란한 수식어로 공포심에 질린 국민들을 현혹하는 광고성 이메일도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

이런 코로나 마케팅은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사기 범죄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이들 사기는 마스크 무료배부나 택배 지연을 이유로 금품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확진자라고 속여 금전을 요구하는 등 가지치기 범죄유형에다가, 경찰에 체포된 뒤 꾀병을 부리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다. 심리적 약점을 노린 악의적인 범죄행위로 정부당국도 집중 단속에 나서고 있다.

시류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마케팅의 기본이라지만, 국가적 재난이 된 사안이라면 조금은 달라야 하지 않을까. 공포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더 큰 불신을 낳는다는 점에서 철저히 막아야할 부분이다.

정부가 코로나19를 악용하는 스미싱·스팸 주의보를 발령하고 단속에 나서고 있는 만큼이나 자정작용도 필요하다. 코로나19를 악용한 신종 사기나 코로나 마케팅은 어느 특정 기관만 뿌리 뽑을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