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현 충북인적자원개발위원회 수석연구원 / 충북대 겸임교수

[동양일보]코로나19바이러스는 여전히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에 걸쳐 이번 주 역시 핫이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 한국, 동남아를 거쳐 중동으로 그 이후, 유럽을 거쳐 이제는 일본과 미국에서 그 시간격차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의 이슈로 세계의 사회, 경제를 비롯한 전방위적으로 그 위협을 떨치고 있다.

4월 5일 기준 미국은 308,533명으로 전 세계(1,164,508명)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확진자를 보유하게 되었고, 스폐인은 124,736명, 이탈리아, 독일, 중국, 프랑스, 이란 순으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 중 한국은 중국에 이어 아시아권에서는 두 번째이지만 전 세계에서 100,237명으로 열일곱번째이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도 이 코로나19를 막기 위한 대책과 더불어 이로 인해 피해를 받는 국민과 기업들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전월 말 국무총리께서 선포한 사회적 거리 두기 또한 4월 4일 연장 시행됨을 발표하였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와 관련해 연장 이유로“앞으로 일정 기간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지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으며, 지난 3월 말 이후 코로나19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시행되었던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전 세계 대유행(팬데믹 : Pandemic)에 따른 해외 유입감염자 증가 등을 고려해 2주 기간 연장조치를 취한 것이다.

한국의 코로나19는 많은 사회적 활동들을 제한하게 되었고, 이는 사회, 경제, 문화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서비스업을 비롯한 10인 미만 자영업자들과 중소기업을 비롯한 대기업까지 전방위적으로 그 영향의 범위도 확산되었고, 사회, 문화, 경제, 정치 등 많은 이슈로 공포심을 자극하고 있으며, 심지어 4월 15일에는 21대 국회의원 총선까지 도래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앞서 기고를 통해 논했던 중국 수출기업, 제조기업, 서비스기업을 비롯한 전 산업의 피해를 일정 부문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기업, 소상공인, 실업자들을 위한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물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 많은 코로나19정부지원사업들과 지원정책들이 시의적절하게 국민이 느낄 수 있도록 지원되기 위해 준비되고 있다. 더불어 광역지자체를 비롯한 기초지자체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한 지원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분명 현재 힘들어하고 있는 기업, 소상공인, 실업자들을 비롯한 국민 모두에게 실효성이 있도록 지원하고 있지만, 그 대상들이 너무나 크고 범위도 너무나 넓어지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심지어 정부는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소득 하위 70%인 1,400만 가구에 9조 10억원을 투입을 시사하였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자금과 지원을 통해 붕괴의 위협에 놓은 기업, 소상공인을 비롯한 국민에게 단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렇다. 이러한 지원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정말 힘든 기업인, 소상공인, 개인 등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은 사실이다.

2020년 1년 12개월 중 코로나로 인하여 3개월의 사간을 소비되었고, 그 기간동안 초등, 중, 고학교를 비롯해 대학마저 개학을 포기하고, 개학된 이후 대면이 아닌 비대면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 연장의 끝이 어디인지는 아직도 가늠하기조차 힘들어지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직업능력을 배양시켜 기업에서 필요한 기술자로, 생산인력으로, 관리인력으로 맞춤형 인력을 연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종의 직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직업훈련기관들도 학교와 마찬가지로 지금 어떻게 해야 할지 갈팡질팡하고 있다. 직업훈련기관들은 사회적거리두기를 비롯한 많은 정부시책에 따라 직업교육이 미루어짐에 따라 향후 기업에서 요구하는 채용 시기와 미스매치 될 수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직업교육생들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채용시기와 맞지 못할 경우, 기업은 인력 수급에 대한 문제점을 호소하게 될 것이며, 구직자들은 실업자로서, 생계의 위협을 지속 받게 되는 악순환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언제까지 또 얼마만큼, 어느 누구에게 계속 지원할 수 있는가 또 언제까지 이겨낼 수 있는가이다. 이렇듯, 코로나19로 인한 많은 위협 요소들은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가 장기화 될 경우 또는 위협이 해소된 이후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코로나19는 분명 국민의 생활방식을 변화시켜 ‘뉴노멀’이라는 신조어를 뿜어내고 있고, 이러한 변화에 대해서 빠르게 대처하지 못할 경우, 내수 경기를 비롯한 해외 경기도 문제를 받게 될 수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빠른 대처와 더불어 국민의 협조와 공동체 의식으로 미국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대처하거나, 코로나19가 종료될 경우 우리가 가야할 방향에 대한 고민과 해결방안들도 함께 준비되야 한다. 우리는 IMF를 비롯해 금융위기 등 이런 힘든 고난을 이겨 낼 수 있는 저력을 갖고 있으며, 사상 초유의 사태를 이겨내고, 빠른 경기회복의 방안이 함께 고안되어야 한다. 미래를 예측하고, 더 많은 정보를 준비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피해를 극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