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사광가속기 부지선정 평가기준은 전문가위원회에서 검토·마련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조감도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조감도

 

[동양일보 엄재천 기자]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당대표가 8일 민주당 광주시당에서 열린 민주당·더불어시민당 합동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차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유치와 이(E)모빌리티를 광주·전남에 구축해 호남을 미래첨단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충북 정치권에는 비상이 걸렸다.

정치권에서 방사광가속기가 정치이슈로 떠오를 가능성이 열리면서 충북도와 충청권은 발목이 잡히게 생겼다. 충북도 입장에서 가장 벌어져서는 안 되는 일이 눈앞에 닥친 격이 되고 말았다.

미래통합당 충북도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민주당 충북도당이 차세대 방사광 전남유치를 발언한 이해찬 대표와 관련해 ‘충북과의 공정한 경쟁이 보장되도록 하겠다’는 의미가 잘못 전달된 것이라는 해괴망측한 변명으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통합당은 “이해찬 대표 발언 당시 현장에 있던 기자가 ‘차세대 원형방사광가속기 유치와 e모빌리티 신산업 생태계를 광주전남에 구축해 호남을 미래첨단산업기지로 육성하겠다’고 말한 이해찬 대표의 발언을 워딩했는데도 변명으로 일관하고 정치공세로 치부하는 것은 참으로 잘못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충북을 무시하고 충북도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왜 강력 항의하지 못하는가”라며 “그러면서 무슨 충북발전을 논의하고 약속을 지키겠다고 하는지 도대체 이해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런 와중에 전남지역(광주매일신문 등) 언론계도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과 관련, 정부가 평가기준을 확정한지 3일만에 서둘러 공고했다고 보도했다. 또 부지선정과 관련해 공고한 평가요소 및 기준은 위치나 접근성에 관한 평가 요소를 과다하게 높게 책정했으며 GIST 설문조사 결과를 미반영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들 신문은 정부가 제시한 부지 면적(최소 26만㎡)은 일부 자치단체가 제공하기 곤란한 규모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같은 호남지역 일부 언론들의 보도내용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반박하고 나섰다.

과기부는 부지선정 평가기준은 올 2월 한국연구재단이 실무전문가반을 통해 준비했으며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부지선정평가위원회’를 통해 검토·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세계 최고수준의 우수한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위한 기술적 사항 및 운영 관련사항은 별도의 개년연구(2020년 2월)를 통해 도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지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부지의 특성과 입지조건이라고 강조했다.

2020년 3월 GIST가 수행한 방사광가속기 활용성 제고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가속기의 성능과 운영관련 사항 외의 항목에서는 ‘가속기 이용시 교통 접근성(41.3%)’ 항목이 중요한 애로사항으로 제시됐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제시한 부지규모(최소 26만㎡)는 개념연구에 따라 방사광가속기 사양 및 규모를 고려해 최소한으로 제시한 상항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관계자는 “빔에너지 4GeV, 빔에미턴스<0.1nm·rad, 가속기 둘레 약 800m 및 이에 따른 실험장치, 연구동 등 시설이 포함된 최소 면적”이라고 밝혔다.

충북도는 호남지역의 부지선정 적정성 논란과 관련, 과기부가 밝힌 새로운 방사광가속기의 구축 목적은 지난해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드러난 소재, 부품, 장비의 국내 개발과 고급화 등 ‘산업지원’이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허경재 도 신성장산업국장은 “방사광 가속기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가능하고, 그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수밖에 없는 중부권 지역이 최적지”라며 “특히 충청권에는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할 38개 연구기관, 75개 대학, 다수의 바이오·반도체·화학물질·에너지 저장장치 기업들이 집적화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많은 과학자들도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하기 위해 신청 후 몇 달을 기다렸다가 포항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며 “또 다시 국토의 한편에 치우친 곳에 방사광가속기가 건설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하고 있다. 엄재천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