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분자 화합물을 실험쥐에 투여하자 아밀로이드 베타 양이 줄어든 모습. KAIST제공

[동양일보 정래수 기자]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물질의 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화학과 임미희·백무현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이주영 교수 연구팀이 간단한 화학 반응인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원리를 새롭게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만 있을 뿐 현재까지 개발된 치료제는 없다. 대표적인 원인 인자로는 활성 산소종과 아밀로이드 베타, 금속 이온 등이 있다. 이들 인자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뇌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원인 인자들을 동시에 표적할 수 있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물질인 기존 저분자 화합물을 새로운 방식으로 설계해 이들 원인 인자들을 한꺼번에 표적할 수 있는 원리를 밝혔다.

분자들에 기능기를 붙이면 산화 환원 반응이 쉽게 일어나면서 활성 산소를 더 잘 죽일 수 있게 되고, 아밀로이드 베타도 독성이 없게 바꿔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를 알츠하이머에 걸린 실험 쥐에 투여한 결과 뇌 속에 축적된 아밀로이드 베타의 양이 크게 줄어들고, 손상된 인지 능력과 기억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4월 1일 자에 실렸다.

임미희 교수는 "이 방법을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적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